5살 아이를 키우고 있는 30대 주부 A씨는 "며칠 전부터 토하고 그러길래 음식 탈 난 줄 알았는데, 로타바이러스였다"며 "아이가 밥도 못 먹고 기운이 하나도 없어 보인다"라고 말했다.
이어 "로타바이러스는 24개월 지나면 잘 안 걸린다는데, 우리 애는 장이 약한 건지 바로 걸렸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누리꾼들은 "로타바이러스로 큰 애랑 같이 입원했는데, 큰 애 퇴원하자마자 내가 걸렸다" "아직 어린아이인데 물 마셔도 토한다" "속이 울렁거리고 설사하더니 로타바이러스였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5주차(11월 2∼8일)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환자는 모두 54명으로, 43주차(24명) 이후 거의 2배가 됐다.
45주차 환자 수는 작년 같은 기간(34명)보다 58.8% 많은 수준이다.
사람이 감염되는 로타바이러스에는 그룹 A∼C형이 있는데, 이 가운데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된 것은 그룹 A형이다.
로타바이러스는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 위장관염이다. 감염 시 24∼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와 고열, 심한 설사 등의 증상이 4∼6일 이어진다. 대부분 회복되지만 드물게는 심한 탈수로 사망할 수도 있다.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로부터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되기 때문에 신생아실,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등에서 영유아들이 한꺼번에 감염되기도 한다.
로타바이러스에 따른 바이러스성 장염은 특히 11∼3월의 추운 계절에 많이 발생한다.
질병청 관계자는 "보통 겨울철에 유행하는 편"이라며 "계절 변화에 따라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바이러스성 장관 감염증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도 최근 증감을 거듭하며 지속해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45주차 노로바이러스 환자(69명)는 직전 주(77명)보다 줄었으나 작년 같은 기간의 환자 수(45명)보다는 53.3% 많다.
44주차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검출률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포인트(p), 노로바이러스 검출률은 2.6%p 늘었다.
이들 장관 감염증을 막으려면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 씻기, 채소·과일은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어 먹고 껍질은 벗겨 먹기, 음식물은 충분히 익혀 먹기(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 끓인 물 마시기, 환자가 사용한 공간이나 물품 소독하기 등이 중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