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 XR '무한' 언팩] 불붙은 XR 패권 경쟁 ...삼성·애플·메타 3파전 예고 삼성전자가 22일 확장현실(XR) 헤드셋 '갤럭시 XR'을 출시하면서 애플, 메타와의 치열한 3파전이 펼쳐지게 됐다. 3사 모두 색깔이 뚜렷한데, 삼성은 제품의 디자인과 가격을, 애플은 유기적인 생태계 구축, 메타는 콘텐츠 다양화로 차별점을 줬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갤럭시 XR이 기대 이상의 완성도를 보여 XR 생태계 판도를 뒤흔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갤럭시 XR'를 한국·미국 시장에 출시했다. 갤럭시 XR은 헤드셋처럼 착용하고 확장현실을 체 2025-10-22 17:39 -
삼성, 백만원 초중반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0%p 이상 상승…"S25 판매 호조" 삼성전자가 100~140만원대 글로벌 스마트폰 월간 판매량에서 선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7~8월 해당 가격대(700~900달러) 스마트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30% 성장했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시리즈의 흥행을 바탕으로 해당 가격대에서 애플의 점유율을 일부 흡수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중국 OEM 샤오미와 오포 역시 고가 라인업을 강화하며 해당 가격대에서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했다. 멍멍 장(Mengmeng Zhang) 카운터 2025-10-22 17:20 -
MHS, 고발열 반도체 잡을 냉각 솔루션 '르네상스' 공개 엠에이치에스(MHS)는 22일부터 오는 2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SEDEX 2025'에 참가해 차세대 인공지능(AI) 수냉식 냉각기술 'MACS(Micro Aqua Cooling System)' 기반 대표 모델 '르네상스'를 비롯한 다양한 냉각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MHS는 AI 연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와 신경망처리장치(NPU) 및 고발열 반도체 환경을 위해 설계된 액체 기반 수냉식 솔루션 '르네상스', 고성능 데스크톱 및 워크스테이션용 공냉형 냉각기 '모나코(Monaco)'를 공개했다. 2025-10-22 16:45 -
송재혁 삼성전자 CTO "반도체 기술 혁신, '협업'에서 해답 찾아야" "향후 반도체 산업은 하나의 단일 기술로 발전하는 게 아니라 다양한 반도체 제품들과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더 큰 혁신을 이룰 것입니다." 송재혁 삼성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가 22일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5)' 기조 강연에서 내놓은 미래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이다. 과거 10개의 부서가 각자의 제품을 만들었다면, 앞으로는 30개의 부서가 고사양 제품 하나를 위해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장직을 맡고 있는 송 CTO는 이날 '시너지를 통한 2025-10-22 16:17 -
[르포] "HBM을 실물로 보다니"…삼성·SK하이닉스, 반도체대전서 AI 반도체 공개 "뉴스에서만 보던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실제로 보니 정말 신기하네요." 22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를 찾은 고등학생 김동현 씨(17)가 삼성전자의 HBM 기술 영상을 살펴보며 이같이 말했다. 메모리 반도체 엔지니어를 꿈꾸는 김 군은 현재 반도체 관련 학과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했다. 올해 반도체대전 행사에서는 삼성전자를 비롯해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등 글로벌 반도체 제조·장비 기업 280곳이 700여개 전시관을 운영한다. 한국의 반도체 기술 2025-10-22 13:44 -
[삼성 XR '무한' 언팩] 스펙 '끝판왕'에 가격도 합리적… "더 넓은 세상 열려" 삼성전자가 '갤럭시 XR(Galaxy XR)'을 국내 정식 출시하면서 새로운 세상을 열었다. 애플, 메타 제품 대비 우수한 성능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돼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다. 22일 삼성전자는 서울 서초구 '삼성 강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프로젝트 무한(Project Moohan)'으로 알려진 '갤럭시 XR'을 공개하고, 한국, 미국에 출시했다. 갤럭시 XR은 삼성전자와 구글, 퀄컴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Android XR)' 플랫폼을 최초로 탑재한 제품이다. 갤럭시 XR은 2025-10-22 11:48 -
반도체대전 개막… 삼성·SK하닉, AI 미래 전략 한 눈에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미래 전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반도체대전(SEDEX 2025)'이 22일 막을 올렸다. 오는 24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장비·부분품, 재료, 설비, 센서 분야 등 반도체 산업 생태계 전 분야가 참가하는 국내 최대 반도체 전문전시회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을 비롯해 주성엔지니어링, 동진쎄미켐, 피에스케이, 원익 등 글로벌 반도체 제조·장비 기업들 280곳이 700여개 부스 규모로 전시한다. 글로벌 전자제품 제조기업 2025-10-22 11:39 -
한미반도체, 반도체대전서 HBM4용 'TC 본더 4' 소개 한미반도체가 이달 22일부터 24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반도체대전(SEDEX) 2025'에 참가해 차세대 반도체 장비를 선보이시고 고객사와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한미반도체는 HBM4 생산용 신규 장비인 'TC 본더 4'를 비롯해 AI 로직 반도체에 사용되는 '2.5D 빅다이 TC 본더'와 '빅다이 FC 본더' 등도 국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소개한다. 'TC 본더 4'는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인 HBM4 양산을 위한 핵심 장비로 지난 5월 출시됐다. 주요 글로벌 메모 2025-10-22 10:25 -
'LG 씽큐 온' 출시… AI 홈 시대 열었다 LG전자가 AI 홈 허브 'LG 씽큐 온(ThinQ ON)'을 본격 출시한다. 고객이 일상 언어로 대화하면 AI가 맥락과 공간을 이해해 연동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고 서비스까지 연결하는 AI홈 솔루션을 선보인다. LG전자는 22일 온라인브랜드샵(LGE.COM)을 시작으로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LG 씽큐 온과 'LG IoT 디바이스'를 국내에 순차 판매한다. LG 씽큐 온의 출하가는 24만6000원, LG IoT 디바이스는 4만~51만3000원이다. LG 씽큐 온은 고객과의 일상 대화를 통해 맥락을 이해하고, 생활 패턴을 학 2025-10-22 10:19 -
5대 그룹 자산 쏠림 심화…삼성, 5년새 164조원 증폭 '1위' 재계 1∼3위인 삼성·SK·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순위에서도 나란히 1∼3위에 이름을 올렸다. 22일 CEO스코어가 공시대상기업집단(대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 가능한 52개 그룹을 조사한 결과, 전체 자산 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작년 2709조853억원으로 42.8%(811조7984억원) 증가했다. 이 중 삼성·SK·현대차·LG·롯데 등 5대 그룹의 자산 규모는 1143조5705억원에서 1588조741억원으로 444조5천36억원(38.9%) 증가해 나머지 2025-10-22 08:32 -
"뭐든지 물어보세요"…삼성전자, TV·모니터에 퍼플렉시티 최초 탑재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생성형 인공지능(AI)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탑재한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퍼플렉시티 적용 모델은 2025년형 마이크로 RGB(빨강·초록·파랑), Neo QLED(퀀텀 점 발광 다이오드), QLED,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더 프레임 프로, 더 프레임 TV와 2025년형 M7, M8, M9 모니터다. 퍼플렉시티는 AI 기반의 검색 엔진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자료를 수집∙분석해 깊이 있는 답변과 추가 질문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영화 추천, 여행 2025-10-22 08:27 -
인도 IPO '신의 한 수'… S&P, LG전자 신용등급 전망 '긍정적' 상향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21일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BB Stable(안정적)'에서 'BBB Positive(긍정적)'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S&P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조정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3년 만이다. 이는 가전, 전장사업의 견조한 성과와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조달, 관계사 LG디스플레이 실적 개선에 따른 기대를 반영한 것이다. 앞서 올 2월에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aa2, Stable(안정적)에서 Baa 2025-10-22 07:56 -
용석우 삼성 VD 사장 "AX전환 적극 추진"…조주완 LG 사장 "中 대응 준비" 삼성전자와 LG전자 경영진이 인공지능(AI) 혁신을 무기로 미국과 중국의 공급망 경쟁과 중국의 가전 추격을 극복하겠다고 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사장)은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20회 전자·IT의 날' 기념행사에서 "향후 20년은 AI와 지속가능성의 시대"라며 "AI 데이터 기반의 제조 혁신과 지속가능한 AX(인공지능 전환) 가속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용 사장은 "미중 패권 경쟁은 반도체, 배터리, AI 등 핵심 분야에서 갈 2025-10-21 17:44 -
파두,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PMIC 양산 돌입 데이터센터 전문 기업 파두가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전력관리반도체(PMIC)의 최상위 등급(Tier 1) 고객 인증 통과 및 양산을 통해 복수의 후속 제품 공급을 확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성과로 파두는 기술력과 사업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종합 시스템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하는 발판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데이터센터용 PMIC는 그래픽처리장치(GPU),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 서버 컴퓨터의 구성 요소가 사용해야 하는 전력을 각 반도체에 맞게 적절히 변환·배분·제어하는 반도체다. 2025-10-21 16:20 -
中企 기업 경쟁력↑···삼성, 스마트공장 지원 10주년 맞이 삼성이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함께 손 잡고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이 10주년을 맞이했다. 삼성은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스마트공장 10주년 기념 행사를 열고 지난 10년간 스마트공장 사업의 성과를 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노용석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을 비롯해 김관영 전북도지사, 오기웅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CR담당 사장 등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했다.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은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 2025-10-21 14:00 -
삼성·LG, 56회 한국전자전 참가… AI 기반 제품 선보여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제56회 한국전자전(KES 2025)에 참가해 인공지능(AI) 기반 기술과 제품을 선보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주관하는 KES 2025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21일 개막해 24일까지 나흘 간 열린다. 용석우 삼성전자 VD(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장(사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지난 20년간 수많은 기업들의 땀과 열정이 모여 세계 전자·IT 강국으로 도약했고, 20년 전 1000억 달러 수준이던 수출 규모는 2000억원까지 성장했다"며 &quo 2025-10-21 11:43 -
LG전자,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로 차세대 비행 시뮬레이터 개발 나선다 LG전자가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과 손잡고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MAGNIT)'로 차세대 비행 시뮬레이터 개발에 나선다. LG전자는 20일 경기도 고양시 소재 킨텍스(KINTEX)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25(이하 ADEX 2025)'에서 KAI와 '시뮬레이터에 적용 가능한 LED 기반 영상시스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백기문 LG전자 ID사업부장(전무),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장(전무) 등이 참석했다 2025-10-21 11:00 -
LG전자, 한국전자전 참가…AI 공간 솔루션 제시 LG전자가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 AI)을 주제로 오는 2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56회 한국전자전(KES 2025)에 참가한다고 21일 밝혔다. LG전자는 'LG AI 갤러리(LG AI Gallery)'를 테마로 900㎡ 규모의 전시관에서 공감지능이 적용된 혁신 제품과 기술을 대거 선보인다. 국내외 파트너사와 협업해 만든 '키네틱(Kinetic) LED'는 전시장 입구에서 관람객을 맞이한다. LED 사이니지와 거울을 활용해 만든 88개 정육면체 모듈이 각각 좌우로 360도 회전하면서 다채롭고 역동적 2025-10-21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