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올해 다보스포럼 화두는 'AI'...UN '회의론'에도 글로벌 리더 '낙관론'에 뜻 모아올해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은 '지능형 시대를 위한 협업‘이라는 주제에도 인공지능(AI)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통제되지 않은 AI가 ‘기만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기술 개발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우려도 나왔지만, 2500여 명의 글로벌 리더들은 AI가 경제, 사회, 기술적 전환을 이끄는 핵심 동력임을 인정하고 AI 기술에 대한 낙관론에 입을 모았다. 23일 IT(정보통신) 업계에 따르면,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UN) 사무총장은 22일(현지시간
-
AI 노벨상 수상자 하사비스, AI 신약 혁명 선언..."올해 임상 돌입할 것"신약 개발 스타트업 '아이소모픽 랩스'가 올해 안에 인공지능(AI)으로 설계한 신약의 임상시험에 들어간다.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아이소모픽 랩스의 창업자 데미스 허사비스(Demis Hassabis)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사비스는 "우리는 종양학, 심혈관, 신경 퇴행 등 모든 주요 질병 분야를 살펴보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는 첫 번째
-
[컨콜] 삼성SDS, 올해도 클라우드·생성형 AI에 5000억원 이상 투자 단행삼성SDS가 올해도 클라우드와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업을 위해 5000억원 이상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23일 삼성 SDS는 2024년 4분기·연간 실적 발표에서 "올해에도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사업을 위한 투자를 지속해서 5000억원 이상의 캐팩스(Capex)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캐팩스란 기업의 영업활동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자산, 공장, 건물, 기술 또는 장비 등을 취득하기 위한 비용·투자금액을 일컫는다. 삼성SDS는 지난해 동탄 데이터센터의 고성능컴퓨팅(HPC) 서버 확대, 생성형 AI
- 2025-01-23
- 16:39:47
-
[CES 2025] AI 에이전트 전면 등장...고령화 맞아 헬스테크 열풍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는 개막부터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대부분의 키노트 스피치가 조기 마감될 정도로 관람객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삼성전자, SK, LG전자 등 한국 대기업들의 전시관은 발 디딜 틈 없이 인파가 몰렸다. LG전자의 '월드 프리미어'에서는 힙합스타 윌아이엠의 깜짝 등장으로 행사장이 들썩이기도 했다. 올해 CES는 AI 에이전트가 전면에 등장하며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CES 혁신상 전체 수상 건수 중 AI 관련 분야가 11.6%로
- 2025-01-23
- 15:28:43
-
이주완 의장 "기업 AI 전환은 메가존클라우드 성장 큰 기회...상장 시기 글로벌 경기 맞춰 조절"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의장이 인공지능(AI) 관련 인력을 대거 확충해 기업 AI 전환(트랜스포메이션)을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3000억원이 넘는 사내유보금이 있는 만큼 단기 실적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 상황과 투자자들의 행보에 맞춰 상장 시기를 유동적으로 조절하겠다는 뜻도 함께 밝혔다. 이 의장은 23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2025 APEC CEO 서밋 추진위원회 출범식'이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나 이러한 사업 계획에 대해 설명했다. 메가존클라우드는 국내 1위
- 2025-01-23
- 15:20:00
-
삼성SDS, 2024년 영업익 전년比 12.7% ↑…4분기는 1.4% ↓삼성SDS는 2024년 매출 13조8282억원, 영업이익 9111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3%, 영업이익은 12.7%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매출 3조6423억원, 영업이익 2115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4% 감소했다. 지난해 가장 호실적을 기록한 분야는 클라우드 사업이다. 삼성SDS는 클라우드 사업에서 전년 대비 23.5% 성장한 연 매출 2조323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클라우드 사업은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클라우드제공(CSP) 사업과 클라우
- 2025-01-23
- 11:38:28
-
구글 하사비스 "AI로 설계한 신약 임상시험 올해 들어갈 것"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소유의 신약 개발 스타트업 '아이소모픽 랩스'가 올해 안에 인공지능(AI)으로 설계한 신약의 임상시험에 들어간다. 아이소모픽 랩스의 창업자인 데미스 허사비스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인터뷰는 스위스에서 열리고 있는 다보스포럼에서 진행됐다. 허사비스는 "우리는 종양학, 심혈관, 신경 퇴행 등 모든 주요 질병 분야를 살펴보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는 첫 번째 약물을 갖게 될 것으로
- 2025-01-23
- 08:16:25
-
'앙숙' 일론 머스크·샘 올트먼, 트럼프 정부의 '스타게이트' 두고 충돌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가 발표한 대규모 인공지능(AI) 산업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구상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밝혔다. 머스크는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 의사를 밝힌 기업들이 충분한 재정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과 이견을 드러낸 것이다. IT(정보통신)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는 21일 백악관에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공식 발표했다. 이는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 등 글로벌 기업들이
- 2025-01-23
- 08:04:00
-
"美 AI 합작사 '스타게이트'에 MS·엔비디아 기술 파트너로 참여"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 등 3사가 설립하는 AI 합작회사 '스타게이트'에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도 기술 파트너로 참여한다. 23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MS와 엔비디아가 스타게이트의 기술 파트너가 될 예정이라고 전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각)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이 미국에 최소 5000억달러(약 718조원)를 투자하는 AI 합작회사 '스타게이트'를 설립한다
- 2025-01-23
- 07:55:02
-
[박진영의 잇(IT) 스토리] "트럼프 2기, AI 안전·신뢰성 정책 강화…기업 규제는 완화"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안전·신뢰성 확보 정책이 강화되는 한편, 자국 기업에 대한 각종 AI 규제는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글로벌 규제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AI기술의 신뢰성 확보를 목표로 산업 진흥을 선도하는 미국과의 기술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온다. 22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미국의 AI안전·신뢰성 정책 추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는 트럼프 2.0시대에는 AI 기술의 안전·신뢰성 확보
- 2025-01-23
- 05:00:00
-
韓 산업계도 주목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SKT 유영상 "굉장해…韓도 노력할 것"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대해 "사실이라고 하면 굉장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유영상 대표는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방송통신인 신년인사회 후 기자들과 만나 "한국에도 그런 프로젝트가 생겨야 할 텐데, 노력해 보겠다"며 "우리나라도 그 정도의 규모는 아니지만, 한국의 AI가 산업을 발전시키는 여러 가지 AI 인프라나 AI 서비스 기업들이 나와서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
- 2025-01-22
- 17:36:43
-
국가 AI컴퓨팅센터 개소 시점 2030년→2027년 앞당겨…서비스 개시는 올해 11월부터정부가 당초 오는 2030년 예정이었던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개소 시점을 2027년으로 3년 앞당겼다. 아울러 AI컴퓨팅 서비스를 올해 조기 개시하며 관련 수요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SPC 설립) 실행계획(안)'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바탕으로 민·관 합동으로 AI 시대 핵심 인프라인 국가 AI컴퓨팅센터를 본격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구
- 2025-01-22
- 13:23:06
-
에이든과 라온피플, 태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주도에이든 랩스(Aiden Labs)와 라온피플이 태국 정부와 협력하여 브엉깐주를 스마트시티 허브로 발전시키는 프로젝트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15일 태국 쏭삭 통씨 내무부 차관과 피킷 스리차나 스마트시티 예산위원장 그리고 에이든 랩스의 네이튼장 대표를 포함한 관계자들은 라온피플의 과천 사옥과 안양 스마트 통합 관제센터를 방문해 AI 기반 재난 및 교통 관리 솔루션을 점검하며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논의했다. 라온피플은 지난해 태국 내무부와 협력하여 브엉깐주에서 홍수 및 재난 관련 AI
- 2025-01-22
- 09:31:04
-
KT 'AI 보이스피싱 탐지·알림서비스' 출시KT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를 실시간으로 찾아내 경고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알림서비스'를 상용화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AI가 통화 내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보이스피싱 여부를 판단하고, 고객에게 즉시 주의하라고 알려 통화를 차단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사후 피해 복구 중심의 보이스피싱 대응에서 더 나아가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도록 한 능동적 보안 솔루션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삼성전자 단말기 사용자라면 통신사 구분 없이 누구나
- 2025-01-22
- 09:20:37
-
SK C&C, SKT와 B2B AI 에이전트 개발 '박차'SK C&C는 SK텔레콤과 함께 자사의 인공지능(AI) 금융 투자 플랫폼 '마켓캐스터(Market Caster)'를 바탕으로 산업·고객 맞춤형 AI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을 본격화한다고 22일 밝혔다. SK C&C는 앞서 지난해 12월 SK텔레콤과 함께 정식 출범한 AIX사업부에서 SK그룹 내 산재된 AI 역량을 집결하고, AI B2B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마켓캐스터처럼 이미 시장 검증을 마친 AI 모델을 활용해 에너지·반도체·배터리 등 주요 산업별로 포진된 그
- 2025-01-22
- 09:15:44
많이 본 경제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