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용호 LS증권 연구원은 "솔브레인의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2095억원, 영업이익은 22% 줄어든 360억원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적 부진의 주요 요인은 삼성전자의 시안 1공장 낸드 전환 투자가 진행되면서 자연 감산에 따른 웨이퍼 투입량이 줄었고, 삼성전자의 1분기 HBM 생산량 급감으로 인해 CMP 슬러리 매출액이 지난해 4분기 172억원에서 1분기 139억원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는 시안 1공장 전환 투자 이후 시안 2공장 전환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자연 감산이 지속됨에 따라 낸드 산업의 웨이퍼 투입량 회복이 쉽지 않고, 솔브레인의 반도체 소재 가동률도 뚜렷한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