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글로벌 경제환경과 기술혁신, 인구구조 변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중장기 전략 수립을 목표로 제7기 중장기전략위원회가 출범했다. 정부는 위원회를 통해 산업·고용·금융·지역균형 발전 등 핵심 개혁 과제의 중장기 방향성을 정립하고, 국가 미래전략 청사진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7기 중장기전략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는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이 위원장을 맡았으며, 민간전문가와 기업인, 청년창업가,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이 참여했다.
중장기전략위원회는 2012년 기재부 장관 자문기구로 신설돼 국가 미래전략과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제시해 왔다. 정부는 7기 위원회 구성에 대해 “AI·바이오 등 혁신기술 전문가뿐 아니라 산업계와 청년층까지 폭넓게 참여해 다양성과 대표성을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위원회는 보다 심층적 논의를 위해 △혁신성장반 △미래사회전략반 △거버넌스개혁반 등 3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됐다. 혁신성장반은 AI·바이오 등 신산업 전략을, 미래사회전략반은 인구·교육·노동·복지·기후 대응을, 거버넌스개혁반은 정부혁신·규제개혁·지역발전 등을 다루게 된다.
출범식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중장기전략위원회는 지난 10여 년간 중장기 국가발전 방향을 제시하며 미래세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산업구조 전환, AI 대전환에 대응한 고용정책, 지역이 주도하는 균형발전 전략, 생산적·포용적 금융제도 마련 등 주요 정책과제에 대해 근본적 진단과 방향성을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구 부총리는 “중장기 전략은 단지 먼 미래를 대비하는 작업이 아니라 현재의 난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라며 “위원회가 정부 정책 설계의 중추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7기 중장기전략위원회는 오는 2027년 9월까지 활동하며 분과별 세미나, 미래전략포럼, 미래전략컨퍼런스 등을 통해 국가 중장기 미래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