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사태, 투명한 기업 만들기 초석으로 삼아야

‘행복한 눈물’로 시작해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로 붉어진 삼성그룹 사태가 일단락 됐다. 이는 22일 이건희 회장 퇴진과 이재용 전무의 백의종군 및 이학수 부회장, 김인주 사장 퇴진을 골자로 하는 삼성그룹 쇄신안이 발표된데 따른 것이다. 

그 동안 어느 정권 하에서도 흔들림이 없었던 삼성家가 참여정부 후반기부터 흔들리더니 급기야 이명박 정부에 들어서 두 손을 든 꼴이 됐다. 

이번 삼성 사태는 우리나라 대기업들의 대표적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 국내 대기업은 해방 이후 창업주가 회사를 일으켰다, 경제 발전을 국가 최우선 정책으로 내세운 군사 정권을 거치면서 대부분 삼성처럼 글로벌 기업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국내 대부분의 그룹 창업주들은 이를 개인 기업으로 생각하고 경영권과 함께 회사 지분 등을 자신의 2세에게 넘기는 이른바 김일성-김정일 세습체제를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른바 이번 삼성 사태도 세습 경영체제를 구축하려고 하는 삼성가의 노력(?)이 허황된 것이었음을 깨우쳐주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쉬움도 남는다. 2005년 말부터 2006년 초까지 벌어진 에버랜드 전환사채 헐값 인수에 의한 증여 및 경영권의 변칙상속, 지배구조, 불법대선자금, X파일 사건 등의 삼성 사건이 더 투명하고 깨끗하게 처리됐으면 오늘의 삼성 사태를 막을 수 있었을 지도 모른다. 

당시 삼성가는 이 사건을 서둘러 무마하기 위해 8000억이라는 돈을 사회 기부금으로 내놨다. 법의 칼날도 그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했다.  

하지만 2년여가 채 지나지 않아 그 상처는 더욱 곪아 터지는 지경에 이르렀다. 당시 더 철저한 수사로 사건을 종결했더라면 글로벌기업으로 국내 경제를 이끌어 가는 삼성가가 깨끗한 기업으로 탄생하고 국내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이다. 

현재 현대·기아차그룹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은 이번 삼성 쇄신안 발표에 함구하고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같은 입장에 처해 있기 때문이라고 사회단체 관계자들은 전했다. 

이번 삼성 사태가 ‘한국경제의 후퇴’가 아닌 ‘한 발 전진을 위한 후퇴’라는 좋은 본보기가 됏으면 한다.

앞으로 국민과 사회단체, 정부는 삼성그룹의 순환출자에서 지주회사제 전환, 불법 차명계좌의 실명전환 후 사회공헌 자금으로의 전환 등 삼성이 공언한 부분에 대한 이행을 잘 지켜봐야 할 것이다.

또 기업들은 이번 삼성사태를 계기로 기업 경영에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기업문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