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가 자국의 데이터와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일본산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에 나선다. 미국과 중국에 의존하는 현재와 같은 상태로는 정보의 해외 유출과 일본에 관한 잘못된 정보가 확산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자국산 AI 개발을 서두른다는 방침이다.
요미우리신문의 18일 보도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일본 총무성과 경제산업성 등 정부가 나서서 양질의 일본어 데이터를 자국 민간 업체에 전달하고, 기술자 채용과 기술 개발 인프라 제공 등을 지원한다.
총무성 소관의 국립연구개발법인 ‘정보통신연구기구(NICT)’가 20년 가까이 수집한 일본어 데이터를 제공하고, AI 개발 업체인 ‘프리퍼드 네트웍스’가 일본의 문화, 관습, 제도 등에 대한 신뢰성 높은 답을 제공하는 AI를 공동 개발한다. 완성된 일본산 AI는 클라우드 제공 사업자인 ‘사쿠라 인터넷’을 통해 제공된다.
현재 일본 내에서는 미국과 중국 등 해외 AI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요미우리는 “이들은 주로 영어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하고 있어 일본 문화나 역사 등의 이해가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서 “해외 AI는 학습 데이터 등 개발 과정이 불투명하다”면서 “일본으로서는 허용할 수 없는 데이터가 학습될 우려가 있다”는 일본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요미우리는 가령 “중국의 생성 AI인 딥시크에게 자민당 오노데라 이쓰노리 정조회장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는 일본 영토인가’라고 질문하자 ‘센카쿠는 중국 고유의 영토’라고 답한 사례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AI 개발에는 대량의 데이터와 컴퓨터, 뛰어난 전문 인재 등이 필요하지만 일본은 개발 자원이 풍부한 미국과 중국에 비해 뒤처진 상황이다. 생성 AI 성능에 관한 국제 지표인 ‘아티피셜 애널리시스 인텔리젼스 인덱스(Artificial Analysis Intelligence Index)’에 따르면 미국 오픈 AI나 중국 알리바바계 등 미국과 중국의 AI가 우위를 독점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내년 3월 이전에 개정을 추진하는 ‘과학기술·이노베이션 기본계획’에 과학기술 정책과 안보 정책을 연계한다는 방침을 처음으로 명기할 계획이다. 기본계획 개정 초안에서 정부는 과학기술을 외교력, 방위력, 경제력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 국력의 원천’으로 규정하고, 국가 안보 정책과 ‘유기적으로 연계한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