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직 해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 등을 수사하고 있는 이명현 순직해병특검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이른바 호주 '도피 출국' 의혹 수사와 관련해 나흘 연속으로 진행된 압수수색을 마쳤다.
특검팀이 진행한 압수수색은 당시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대통령실 인사와 외교부·법무부 장·차관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특검팀은 이들을 모두 피의자 신분으로 보고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소환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8일 서울 서초동 특검사무실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이 전 장관 호주대사 임명과 출국, 사임 과정의 불법행위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통령기록관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법무부·외교부 일부 사무실, 해당 업무 관계 대통령실과 법무부·외교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 대상이 됐다고 부연했다.
정 특검보는 "대통령실과 법무부 인사정보관리단의 인사 검증, 외교부 자격 심사, 법무부 출국금지 해제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는지 살펴보고 있다"며 "압수수색 대상이 됐던 주요 피의자들에 대해 압수물 분석 이후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히 특검팀은 이번 압수수색의 대상이 된 인물들이 모두 피의자 신분이라고 알렸다. 조태열 전 외교부 장관과 장호진 전 국가안보실장,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심우정 전 검찰총장, 이노공 전 법무부 차관, 박행열 전 인사정보관리단장, 이재유 전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장 등이 해당 사건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받았다.
특검팀은 전날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의 차량과 휴대전화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정 특검보는 "이 전 비서관 재임 당시 인사비서관실과 외교부 사이에서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과 관련해 논의가 진행된 정황들을 확인, 압수수색을 집행하게 됐다"고 언급했다.
이 전 비서관은 지난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2024년 1월까지 대통령의 인사권 행사를 보좌하는 인사비서관을 지냈고, 출국금지 상태였던 이 전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관련 인사검증 업무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이 사용하던 휴대전화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장관은 채해병 사건 외압 의혹 주요 피의자로 출국금지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2024년 3월 호주대사로 전격 임명됐다. 임명 후 법무부는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를 해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이 전 장관을 도피시키기 위해 호주대사로 임명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대사 임명과 관련한 인사 검증과 자격 심사, 출국금지 해제 과정에서 외압이나 불법행위가 있었는지에 대해 수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