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내달부터 러 원유 가격상한… 전쟁자금 조달 압박 ↑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홍승우 기자
입력 2022-11-04 21: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러시아 모스크바의 정유공장. [사진=EPA·연합뉴스]

주요 7개국(G7)이 내달 초부터 러시아산 원유 가격에 상한을 씌우는 방안에 합의했다. 전쟁 자금 조달을 차단하자는 취지에서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의 보도에 따르면 G7 국가들은 협상 끝에 오는 12월 5일부터 해상으로 운송되는 러시아산 원유에 고정된 가격 상한선을 적용하기로 타결을 이뤘다. 호주도 동참하기로 했다.
 
WSJ에 따르면 상한선은 러시아에서 원유를 선적하는 첫 구매에만 적용된다. 이는 러시아에서 산 원유를 다른 곳으로 운송한 뒤 시장가를 적용해 재판매할 수 있고, 원유가 아닌 정유 제품에도 상한선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지난 5월 미국 재무부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전쟁 자금 조달을 차단하자는 취지에서 가격상한제 추진 방침을 공개 천명했다. 이후 G7 및 유럽 국가들 사이 관련 논의가 이어져 왔다.
 
G7은 구체적인 구매 가격을 조만간 책정할 방침이다. 가격 상한선을 정기적으로 재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할 계획이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배럴당 40∼60달러 범위에서 상한선이 결정되리라 전망했고, 로이터는 63∼64달러 선으로 내다봤다.
 
러시아는 가격 상한선을 설정한 국가들에 석유 운송을 거부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미국 등 G7 국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G7은 가격상한제 도입에 다른 국가들도 합류시키기 위해 입장을 타진해왔다. 한국도 참여 입장을 밝혔으며 뉴질랜드, 노르웨이 등도 G7의 합류 타진 대상으로 알려졌다.
 
AFP통신에 따르면 독일 뮌스터에서 열린 G7 외무장관 회의에서 회원국들은 올겨울 러시아에 항전을 이어가고 있는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방침을 거듭 밝혔다.
 
G7은 발전기, 난방기, 컨테이너 가옥, 텐트, 침대, 담요 등 혹한 대비용품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할 방침이다.
 
카트린 콜로나 프랑스 외무장관은 “겨울이 다가오고 있고, 러시아는 체계적으로 우크라이나 민간 기반시설을 파괴하고 있다”며 “이는 인도주의적 위기로, 서방 동맹국들은 우크라이나 방어와 주민 구호를 위해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