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8년간 국내 원자로 계약 '0원'…尹정부 정책에 2.5조원 수주 기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성현 기자
입력 2022-07-14 11: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가 윤석열 정부의 ‘원전 생태계 복귀’ 에너지 정책에 따라 내년에는 2조5000억원 규모 원자로 수주 계약을 따낼 것으로 전망된다.

2014년 8월 이후 첫 수주로 정부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와 함께 ‘코리아 원팀’을 통한 원자력발전소 수출에도 힘쓰고 있어 회사 재무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9년 만에 원자로 수주···신한울 3·4호기 건설 통한 기대 수익 3조원 이상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통해 발생하는 국내 경제 파급효과는 10조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마무리 단계인 신고리 5·6호기 사업 규모는 8조6000억원이다.. 신한울 3·4호기 역시 비슷한 규모로 지어지는 만큼 사업비도 비슷할 전망이다.

원전 건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원자로 공급 계약이다. 신고리 5·6호기는 2조3000억원을 원자로 구매에 사용했다. 이 원자로는 두산에너빌리티가 공급했다. 국내에 원자로를 공급할 만한 기업은 이 회사 외엔 사실상 없다. 이에 신한울 3·4호기에 들어갈 원자로도 두산에너빌리티가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

신한울 3·4호기 원자로 비용은 약 2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원자로 대금은 선납이 아닌 작업량에 따라 분할 지급된다. 이에 두산에너빌리티는 수주 계약과 함께 최소 5년 이상 원자로 일감을 장기로 확보할 수 있다.

원자로 다음으로 큰 비용이 드는 계약은 원전 건물 건설이다. 신고리 5·6호기는 삼성물산·두산중공업·한화 컨소시엄이 1조1775억원에 해당 사업을 수주했다. 원전 건물 건설 역시 원자로를 중심으로 진행되기에 두산에너빌리티의 컨소시엄 참여가 유리하게 작용한다. 다른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한다고 해도 최소 2000억원 이상이 두산에너빌리티에 배당될 것이라고 업계에서는 설명한다.

이 밖에 원자로 유지·보수·관리 업무 역시 원자로 공급 업체가 하는 게 일반이어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사업으로 두산에너빌리티가 가져갈 돈은 약 3조원 이상에 달할 것으로 관측된다.

2014년 신고리 5·6호기 원자로를 수주할 당시 두산에너빌리티의 별도기준 매출은 5조4968억원이었다. 이후 추가 원자로 공급을 수주하지 못한 이 회사 매출은 △2015년 5조1463억원 △2016년 4조7053억원 △2017년 4조3367억원 △2018년 4조1017억원 △2019년 3조7086억원 △2020년 3조4514억원을 기록하면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매출은 2020년 보다는 소폭 증가한 3조5929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대비 34.64% 줄어든 수치다. 이 기간 국내 원자로 관련 수주액은 0원이며, 해외에서 원자로 부품공급, 원전 유지·관리 등을 통해 원전사업의 명맥을 유지해왔다.

전 정권의 원전 폐기 공약과 함께 고사할 것으로 전망됐던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3·4호기 건설로 인해 재기를 노릴 수 있게 됐다. 정부는 내년 7월까지 신한울 3·4호기 주계약을 앞당기고, 2024년부터는 건설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두산에너빌리티가 해당 사업에서 원자로 공급 계약을 따낸다면 9년 만에 원자로 수주 매출을 올리는 셈이다.
 
원전 산업, 중소기업도 숨통···원전 수출 발판 마련
 
두산에너빌리티뿐 아니라 이번 윤석열 정부의 정책 변경으로 645곳에 달하는 원전산업 부품·장비 업체에도 숨통이 트이게 됐다. 8조원 규모 신규 원전이 건설되면서 얻는 사업소득과 함께 정부가 연간 1300억원 규모로 원전산업 일감을 풀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매출 100억원 미만인 원자력 관련 기업 비중은 2016년 79.4%에서 2020년 87.4%로 늘었다. 2020년 기준 원자력 산업 부품·장비 업체 645곳 중 242곳(37.5%)은 관련 수주가 전혀 없었다. 원전산업이 무너지면서 관련 기업의 영세화도 가속화하는 양상이다.
 
정부는 올해 풀리는 1300억원에 더해 내년 초부터 신한울 3·4호기 사전 제작 일감을 발주할 방침이다. 또 연내 1조원 이상 금융·연구개발(R&D) 지원을 실시한다. 당장 현금 수급이 절실한 중소기업에는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기존 원전을 계속 원전을 계속 운전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함으로 관련 하청 기업들의 일감이 끊이지 않도록 한다. 
 
이와 별도로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통상자원부는 해외 원전 수주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이 목표인데, 사업 방식은 두산에너빌리티와 중소 원전 기업들이 ‘코리아 원팀’을 구성해 국가 차원에서 해외 원전을 건설하겠다는 것이다. 국내 원전 건설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체코, 폴란드 등 국가에 수주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1~2년만 더 지났어도 두산을 시작으로 국내 원전 산업 전체가 무너질 위기였다”며 “지금이라도 일감이 생겨 다행이다. 에너지 사업은 실적이 중요한데 이제부터 해외 원전 사업에 참여하는 국내 기업도 크게 늘 것”이라고 기대감을 보였다. 
 

신고리 5·6호기 원자력발전소 [사진=한국수력원자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