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사퇴 이후] ②文 대신 檢 선택한 尹…현 정부 ‘총아’서 정권재창출 최대 걸림돌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 기자
입력 2021-03-08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조직에 충성, 사람에 충성 안 해” 자신 발언대로 실행

  • 재보선·대선 국면 최대 변수…당분간 ‘장외전’ 펼칠 듯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7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부인 김건희씨가 운영하는 전시기획사 코바나컨텐츠에서 나와 엘리베이터에 탑승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직에 충성하지 사람에 충성하지 않는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자신의 이름을 기억하게 만든 발언이었다. 그는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이른바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수사’를 하다가 좌천됐고 같은 해 10월 국정감사장에서 이 같은 말을 남겼다.

8년이 지난 지금 윤석열 전 총장은 본인의 발언대로 지난 4일 검찰총장직을 던졌다. 2년 임기의 검찰총장에 임명된 지 588일 만이자, 27년의 검사생활에 종지부를 찍었다. 임기제 시행 후 취임한 22명의 검찰총장 중 중도 사퇴한 14번째 총장이 됐다.

표면적인 이유는 중대범죄수사청이라는 검찰 조직에 대한 반대다. 검찰이라는 ‘조직’을 옹호하고 자신을 검찰총장에 앉힌 ‘사람’인 문재인 대통령을 저버렸다는 평가가 나왔다.

3년 가까이 한직으로 분류되는 고검을 맴돌던 그는 국정농단 사건과 함께 화려하게 복귀했다.

윤 전 총장은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이 표면화한 2016년 박영수 특검의 수사팀장으로 일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대통령 당선 10일 만에 고검 검사에서 서울중앙지검장으로 발탁했다. 2년 뒤인 2019년에는 검찰총장으로 직행했다. 전임 문무일 검찰총장보다 다섯 기수 후배가 임명된 파격 인사였다.

문 대통령은 임명 당시 “청와대, 정부, 집권 여당에 권력형 비리가 있다면 엄정한 자세로 임해 달라”며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한 적극 수사를 주문했다.

현 정부와 벌어진 것은 말 그대로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한 수사 때문이었다. 초대 청와대 민정수석을 거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장관에 지명되면서부터다.

윤 총장은 장관 후보자 신분이던 조 전 장관과 일가에 대한 전 방위적인 수사에 착수했고, 결국 조 전 장관은 취임 한 달여 만에 사퇴했다.

후임 추미애 전 장관이 취임하면서 갈등은 더 악화됐다. ‘추-윤 갈등’의 시작이었다. 윤 전 총장은 검찰 간부인사를 놓고 추 전 장관과 대립하다가 추 전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에 직무배제 및 징계청구로 맞섰다. 이 과정에서 차기 대권주자로 급부상했다. 사실상 범야권 1위 후보로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이낙연 대표, 이재명 경기지사와 ‘빅3’를 형성했다.

윤 전 총장은 당초 7월까지인 자신의 임기를 지킬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윤 총장은 검사가 퇴직 후 1년 동안 공직선거에 출마할 수 없도록 한 이른바 ‘윤석열 방지법’에 해당되기 5일 전에 사표를 던졌다. 현행 공직선거법에선 선거 90일 전에 사퇴하면 되지만 최강욱 열린민주당 의원이 1년 전(3월 9일) 사퇴 의무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윤 전 총장이 본격적으로 언제, 어떤 형식으로 정치에 뛰어들지는 확답하기 어렵다. 이미 이번 사태 국면에서 ‘반은 정치에 발을 걸치게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긴 하지만 말이다.

오는 4월 7일로 예정된 서울·부산시장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여권이 초긴장에 상태에 빠진 것도 이 때문이다.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등 당장 특정 정당에 입당하기보다는 외곽에서 자신의 지지세를 넓혀갈 것으로 예상된다.

순회 강연과 저술 등이 대표적인 윤 전 총장의 ‘장외전 무기'가 될 전망이다. 이는 문 대통령과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뛰고 있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정치인으로서의 ‘시작’이기도 했다. 주제는 중수청 등 현 정부의 검찰개혁 전반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다만 윤 총장 평소의 성격상 공개적이고 정기적인 ‘북 콘서트’보다는 대학 등의 특별강연 형식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한편 1987년 민주화 이후는 검찰총장이 국회의원 등 현실 정치에 뛰어든 사례는 두 명으로 집계된다. 검찰총장직을 그만둔 뒤 곧바로 정치인으로 변신한 경우는 1996년 15대 신한국당 국회의원을 지낸 김도언 전 총장뿐이다.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법무부 장관까지 마치고 4년 뒤 15대 국회에 입성해 내리 3선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