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칼럼] 산업계-의료계 협력의 올바른 모델 구축이 필요하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송종호 기자
입력 2020-12-03 16:3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김경철 강남메이저병원 경영원장·EDGC 최고의료자문(CMO)

[김경철 강남메이저병원 경영원장·EDGC 최고의료자문(CMO)]


이번에 유전체분석업계가 추진하는 유전자 검사 협력 병원 모집에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함축돼 있다.

첫째, 산업계-의료계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데 있다. 오랫동안 유전체 검사인 DTC(소지바직접의뢰) 검사의 범위 확대에 대해 의료계와 산업계는 갈등 상황을 보였었다. 의료계에서는 생명윤리법을 들어 유전자 검사를 직접 소비자가 직접 할 수 없음을 주장했고, 산업계에서는 세계적인 추세가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 검사를 더 많이 하는 추세라는 주장을 펴왔다.

그 결과 지난해 보건복지부에서는 질병을 제외하고 개인의 특성과 웰니스 (영양, 운동 등) 부분은 직접 소비자가 검사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외 질병의 예측 유전자 검사는 의료기관에서만 하게 구분해 이 논란은 일단락 됐다.

이번 협력 병원의 구축은 기업이 확보한 개인 유전자를 가진 고객들을 협력 병원에서 질병 서비스를 받게 하는 사업이다. 이제 앞으로 시대에는 개인이 유전자 분석만 아니라 그 데이터를 소유하는 마이 데이터 시대가 될 것이다. 한번 생성한 유전자 데이터 중 일부는 DTC 형태로 결과를 봤으며, 질병에 대한 상담을 더 원할 때는 가까운 병원에서 결과를 다시 듣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미국과 달리 병의원의 접근성이 매우 높은 국내에서는 합법적으로 병원을 통해 얼마든지 추가적으로 분석, 상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생태계가 건강하게 발전을 하면, 유전자에 대한 잘못된 오도나 왜곡된 상업적 이용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고 이 새로운 지식에 대한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회사와 병원 그리고 소비자가 모두 윈윈하는 구조다.

두번째, 진정한 의미의 마이 데이테 시대를 앞 당기는 것입니다. 유전자 분석은 혈액이나 타액에 있는 세포의 DNA에서 추출하는데, 최근에는 한번에 70~80만개 유전적 정보를 마이크로어레이 방식이나 홀게놈 방식으로 한 번에 분석하는 시대다.

DTC를 통해 100여개 유전자 정보를 활용해 서비스를 하나 더 많은 유전적 정보는 원본 파일 형태로 개인이 클라우딩 할 수가 있다. 이번에 구축한 서비스가 이렇게 개인의 클라우딩 된 원본 유전자 파일에서 질병 관련된 유전정보를 재차 사용하게 하는 n차 서비스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다시 혈액이나 타액에서 DNA를 추출하지 않고 바로 서비스를 의뢰하자마자 몇 십분 내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 비용도 훨씬 저렴하게 새로운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것이다.

앞으로 유전정보 뿐 아니라 개인의 병원 정보, 약물 정보, 라이프로그 정보 등이 개인의 앱을 통해 통합된 의미가 부여돼 맞춤 헬스케어를 가이드해주는 마이 데이터 시대가 될 것이다. 이번 유전체분석업계가 구축하는 이런 생태계와 기술적 진보가 이런 시대를 한층 더 빨리 앞당기리라 전망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