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제명 과기 2차관 "스트리밍, AI로 국경 없는 기회 창출"

  • 과기정통부 2025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 개최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22일 오전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2025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사진최연재 기자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22일 오전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2025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사진=최연재 기자




"스트리밍은 국경이 없는 산업, AI는 그 경계 더 허물고 새로운 기회와 연결 만들어간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22일 오전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2025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 개막식에 참석해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이같이 정의했다.

국내 유일 스트리밍 산업 특화 국제행사인 ‘2025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부산시 주최로 22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막을 올렸다.


류 차관은 "스트리밍 서비스는 이제 전 세계인의 일상을 바꾸는 핵심 미디어로 자리 잡았다"면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이미 600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스트리밍 서비스의 시장 규모를 조명했다. 
 

그는 "미국에서는 스트리밍 시청률이 올해 최초로 TV 방송을 초월하는 등 그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이러한 미디어 지형의 변화는 단순한 디지털 기술의 진보를 넘어 AI라는 새로운 동력에 기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그는 "오늘날 인공지능(AI)은 고품질의 콘텐츠를 보다 낮은 비용으로 제작하고 시청자가 선호하는 콘텐츠를 더 쉽게 제공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며 "AI는 콘텐츠 제작부터 자막 더빙의 자동화, 맞춤형 광고와 큐레이션에 이르기까지 실제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제는 미디어 산업의 경쟁력과 생존을 좌우하는 핵심 열쇠가 되고 있습니다"고 사례를 들었다.

류 차관은 정부의 AI 기반 미디어 정책을 강조하며 "우리나라 정부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AI 3대 강국이라는 국가적 목표 아래 미디어 콘텐츠 분야의 AI 확산과 글로벌 진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미디어의 모든 제작 단계에 AI 도입 지원, AI 미디어 신기술에 대한 투자와 연구 개발의 확대, AI 더빙 기반 k패스트 채널의 해외 확산, AI 융합 미디어 인재 양성 등 국내 미디어 산업의 AI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오늘 개막하는 국제 스트리밍 페스티벌이 AI가 여는 스트리밍 산업의 미래를 함께 설계하고 기업 간 국경 간, 새로운 국가 간의 새로운 협력의 장이 되기를 기원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