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연휴 효과로 10월 소매판매가 반등했다. 전달 소비쿠폰 지급에도 감소세를 보였던 기저효과가 반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은 한 달 만에 큰 폭의 감소세로 돌아섰다.
2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월 대비 3.5%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7월 2.7% 증가했으나 8월 2.4% 감소했고, 2차 소비쿠폰이 지급된 9월에도 0.1% 줄며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달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는 전월대비 4.9% 감소했지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7.0%)와 의복 등 준내구재(5.1%)를 중심으로 판매가 늘었다.
투자 지표는 급락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12.2%)와 운송장비(-18.4%)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 대비 14.1% 감소했다. 9월 12.6% 증가했던 흐름이 한 달 만에 완전히 되꺾인 셈이다. 건설기성도 건축(-23.0%)과 토목(-15.1%) 공사 실적이 모두 줄며 전월 대비 20.9% 감소했다. 이 역시 9월 12.3% 증가에서 급락 전환한 것이다.
생산 지표도 부진했다. 전산업생산은 광공업·건설업·서비스업에서 생산이 모두 줄며 전월 대비 2.5%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 생산이 최근 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로 26.5% 급감해 1982년 10월 이후 43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를 기록했다. 데이터처는 “반도체 업황 자체는 호조를 보이고 있어 가격 급등에 따른 일시적 영향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경기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떨어졌고,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보합을 나타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