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전화 통화를 통해 대만 문제와 상호 방문 계획을 협의하면서, 일본 내에서 불안과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중국과의 갈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미국 정상이 동맹국 일본을 향한 명확한 지지 표명은 없었다는 점이 일본 정계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시진핑 주석과 전화 통화한 데 이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도 통화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을 포함한 최근 양국 관계에 대해 설명했다”며 “미·일 간 긴밀한 연계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언제든 전화를 걸어도 좋다고 말했다”고 했다. 다만 그는 대만 문제에 대한 구체적 논의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앞서 진행된 미·중 정상 간 통화에서는 시 주석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이라고 강조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이 중국에 얼마나 중요한지 잘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SNS)에서 공개한 글에는 대만이나 중·일 갈등에 대한 언급이 전혀 포함되지 않았다.
아사히신문은 이를 두고 “다카이치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사후 보고’를 받는 형태가 됐다”고 지적하며, 미국의 진의를 읽지 못하는 일본 정부 내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순 미·중을 ‘G2(주요 2개국)’로 규정한 점도 일본의 경계감을 키우고 있다. 아사히는 이 발언을 “태평양을 동·서로 양분해 양국이 세력권을 인정하는 구상”이라며, 일본으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그림이라고 해설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미·중 통화가 지난달 부산에서의 정상회담 이후 한 달 만에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하며 중국이 대만 문제에서 미국의 이해를 얻어 “미국이 중·일 대립에 관여하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또 편집위원 기명 기사에서 “미·중 관계는 항상 일·중 관계의 핵심 변수”라며 “다카이치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긴밀한 연락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아베 신조 전 총리와 마찬가지로 트럼프와 연결된 파이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조기 방미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이니치신문 역시 “아시아·태평양에서 우발적 상황이 발생할 경우 미국과 먼저 협의해야 하는 것은 동맹국 일본”이라며, 이번처럼 중국이 일본보다 먼저 미국과 대만 문제를 논의하는 방식이 반복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일본 외무성 간부는 아사히와의 인터뷰에서 중·일 관계 회복까지 최대 4~5년이 걸릴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는 2010년 센카쿠 어선 충돌 사건, 2012년 센카쿠 국유화 사태에 버금가는 수준의 대립이라는 평가다. 다만 닛케이는 사태가 심각한 만큼 “조급함은 금물이며, 양측이 수용 가능한 타협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