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 식탁 물가 안정에 방점을 찍으면서 식품업계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상승, 인건비 부담이 누적돼 가격 인상 요인이 커지고 있지만, 정부의 가공식품 가격 인상 억제 압박도 가중되고 있어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 이후 7월 식품·유통업계 간담회 및 물가 안정 실무협의 간담회, 8월 더불어민주당 물가대책TF·식품업계 간담회 등 당정 주도의 물가 관련 공식 간담회가 수차례 진행됐다.
특히 8월 간담회에는 CJ제일제당, 농심, 삼양식품, 오리온 등 국내 16개 주요 식품업체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유동수 TF 위원장은 “국민 일상과 밀접한 가공식품 물가 안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협조를 요청했다. 명목상으로는 업계 의견 청취였으나, 사실상 가격 인상 억제 메시지를 전달한 셈이다.
업계는 원부자재 가격 변동뿐 아니라 인건비, 물류비 등 제반 비용 상승 압력을 동시에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인상 억제 기조에 곤혹스럽다는 반응을 내비치고 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제품 가격은 원자재·부자재, 노임, 경비 등으로 구성된다. 원자재 가격이 안정돼도 다른 비용이 오르면 가격 조정이 어려운 구조"라며 "지속적인 비용 부담 속 가격 인하 압박은 자칫 투자와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정부가 물가 안정을 지속해서 요청하고 있어 원가 상승분을 가격에 반영하려면 눈치를 봐야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즉 가격 인상은 담합이 아닌 비용 구조 변화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서울 중구 롯데마트 서울역점에서 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실제로 원재료 가격 부담은 커지는 추세다. 식품산업협회에 따르면 커피(아라비카) 가격은 지난 2020년 6월 톤(t)당 2142달러에서 지난 2월 8873달러로 약 5년 만에 4배 넘게 뛰었다. 코코아 가격 역시 2020년 3월 t당 2406달러에서 올해 1월 1만1160달러로 4.6배 상승했다. 근로자 평균 임금도 2022년 5.3%, 2023년 4.4%, 2024년 4%로 연평균 4~5%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 가격 억제보다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원자재와 인건비가 오르는 상황에서 가격을 억누르면 이후 더 큰 충격이 나타날 수 있다"며 "가격은 인위적으로 압박하면 당장은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스프링처럼 튀어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원자재와 인건비가 오르는데 가격을 못 올리게 하면 기업이 한국에서 생산할 유인이 약해진다"며 "정부는 가격 자체를 억제하려 하기보다 유통 구조 개선과 같은 시장 기능이 왜곡되는 지점을 바로잡는 데 정책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