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최선희 北 외무상에 "북러관계 계획대로 발전...김정은에 안부"

  • 김정은 방러 시기·북미 정상회담 가능성 주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최선희 북한 외무상 사진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최선희 북한 외무상 [사진=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최선희 북한 외무상과 만나 북러 관계가 계획대로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크렘린궁이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크렘린궁에서 최 외무상과 악수하며 "만나서 기쁘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해달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9월 중국 베이징에서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베이징에서 만나서 우리의 관계 발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했다"며 "이제 모든 것이 다 계획대로 되고 있다"고 밝혔다.

최 외무상은 "바쁘신 데 만나주셔서 감사하다"며 "베이징 회담이 따뜻한 분위기에서 열렸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정말로 그랬다"고 화답했다. 이날 회담에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도 배석했으며, 크렘린궁은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외신들은 이번 만남에서 양측이 북·미, 미·러 관계를 집중적으로 논의했을 가능성이 주목된다.

현재 아시아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 방문을 계기로 김 위원장과 만날 의향을 거듭 밝히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전용기에서 취재진에 "아직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았지만 그(김정은)가 만나고 싶어 한다면 만나고 싶다"며 "그가 만나고 싶어 하면 나는 한국에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최 외무상은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의 북·미 정상회담 언급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전달했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된다.

다만 최 외무상이 28일까지 러시아를 실무 방문한 뒤 28~29일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열리는 유라시아 안보회의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북미 정상회담 성사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푸틴 대통령과 최 외무상이 김정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 시기를 조율했을 가능성도 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6월 평양 회담에 이어 9월 베이징 회동 때도 김 위원장을 모스크바로 초대한 바 있다.

이날 오전 최 외무상은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회담을 갖고 북러 조약 이행 의지와 국제 정세에 대해 논의했다. 러시아 외무부는 두 장관이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긴장이 "미국과 그 동맹국의 공격적 행동"에 의해 고조되고 있다고 한목소리로 비판했다고 전했다.

라브로프 장관은 북한의 쿠르스크 파병에 감사를 표했으며, 파병 대가 문제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북한이 러시아로부터 경제적·군사 기술 지원을 받는 대가로 우크라이나 전쟁에 1만 명 이상을 파견했으며 한국 국가정보원 분석 결과, 지난 9월 기준 약 2000명의 북한군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

최 외무상은 북러 관계 강화 이후 매번 푸틴 대통령의 접견을 받으며 '특별 대우'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해 1월과 11월에도 크렘린궁을 찾아 푸틴 대통령과 만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