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7 부동산 대책 영향 여파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4주째 둔화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셋째 주(7월 2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6% 상승해 전주(0.19%) 대비 상승폭이 더욱 둔화됐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6·27 대책 발표 직후인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이후 4주 연속 상승폭이 줄고 있다.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거래량이 줄면서 전체 상승폭은 축소됐다고 부동산원은 밝혔다.
강남3구 중에서는 송파구만 0.36%에서 0.43%로 상승폭이 올랐다. 서초구(0.32%→0.28%), 강남구(0.15%→0.14%)는 상승폭 둔화세를 이어갔다. 강동구도 0.22%에서 0.11%로 상승폭이 크게 꺾였다.
마용성 등 한강벨트 역시 상승세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마포구(0.24%→0.11), 용산구(0.26%→0.24%), 성동구(0.45%→0.37%)를 비롯해 한강 이남 양천구(0.29%→0.27%), 영등포구(0.26%→0.22%), 동작구(0.23%→0.21%) 등도 오름폭이 줄었다.
오름폭이 확대된 서울 자치구는 송파구와 중랑구(0.03%→0.05%), 강서구(0.09%→0.13%) 3곳에 그쳤다.
경기에서는 과천이 0.38% 올라 직전 주(0.39%) 대비 상승률이 소폭 줄었다. 성남시 분당구는 0.40%에서 0.35%로 상승폭이 더욱 둔화됐다. 바면 용인시 수지구는 0.09%에서 0.12%로 상승폭을 키웠다.
수도권 전체 상승폭은 직전 주 0.07%에서 0.06%로 하락했다. 서울과 경기(0.02%)는 가격이 상승했고 인천은 0.02% 하락했다.
지방은 전주보다 0.03% 하락폭을 확대해 60주째 내림세를 유지했다. 5대 광역시와 8개 도는 각각 0.05%와 0.02% 가격이 떨어졌다.
한편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1% 상승해 직전 주(0.02%) 대비 오름폭이 줄었다. 서울은 역세권, 선호 단지 등을 중심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나타나며, 전셋값이 0.06% 상승했다. 다만 전체 상승폭은 직전 주(0.07%) 대비 하락했다.
수도권 전체 전세가격은 전주(0.03%) 대비 상승률이 0.02%로 소폭 둔화됐고 지방은 보합을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