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명암] 소비심리 살아났지만…사용처 형평성 논란 지속

  • 가맹점 다이소·올리브영 쓸수 있지만

  • 소상공인 운영 기업형슈퍼마켓 제외

서울 한 상점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문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한 상점에 붙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처 안내문 모습 [사진=연합뉴스]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다음 주 시작된다. 국민 1명당 최대 55만원의 지원이 예고되면서 벌써부터 소비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다. 소비쿠폰 사용처에 속한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도 반색하며 안내문 부착 등을 준비 중이다. 하지만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기업형 슈퍼마켓(SSM) 가맹점에선 사용이 막혀 형평성 지적이 나온다.

1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8.7로 전달보다 6.9포인트(p) 올랐다. 석 달 연속 상승이자, 2021년 6월(111.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민간소비 선행지표로 꼽히는 소비자심리지수는 100보다 높으면 소비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이다.소비심리 급상승은 소비쿠폰을 포함한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 기대감에 힘입은 것이다.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두 차례에 걸쳐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5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소비쿠폰 사용처는 주소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에 있는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 소상공인 업체다. 동네식당과 슈퍼, 전통시장, 학원 등이 해당한다. 편의점·치킨집·빵집·카페 가맹점 등에서도 쓸 수 있다.

직영점이 아닌 다이소와 올리브영도 포함한다. 다이소의 가맹점 비율은 31%, 올리브영은 16% 수준이다. 가맹 매장들은 소비쿠폰 사용 안내문을 붙일 예정이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가맹점이더라도 소비쿠폰 사용이 안 된다. 지난해 말 기준 GS더프레시의 79%가 가맹점일 정도로 소상공인 비율이 높아지고, 일부 지역에선 동네슈퍼 역할을 하고 있지만 사용처에서 빠졌다. 이러다 보니 형평성 지적이 나온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소비자 편익을 중심으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소비자가 실제 사용하는 유통망으로 소비쿠폰 사용처를 넓히는 유연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