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13일(현지시간) ABC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이 원하는 수준의 합의를 얻지 못할 경우, 관세는 협상용이 아닌 실제 조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도 협상은 계속되고 있다"며 여지를 남기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EU와 멕시코에 30%, 캐나다에 35%, 브라질에는 무려 50%의 상호관세를 예고한 바 있다. 해싯 위원장은 "대통령은 기존의 개략적 합의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특히 브라질에 대해서는 불만이 많다"고 말했다.
브라질에 50%라는 이례적인 고율 관세를 예고한 배경에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을 둘러싼 정치적 상황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쿠데타 모의 혐의로 재판을 받는 보우소나루를 두고 "정치적 박해"라고 주장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을 시한으로 제시한 가운데, 실제 관세 부과 여부는 향후 몇 주간의 무역 협상 결과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