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구조조정 터널을 지나고 있는 저축은행업권이 배드뱅크 출연과 고강도 대출 규제 등 더 안 좋은 환경을 마주했다. 재무 상태 악화로 여러 저축은행이 금융당국의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되거나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상황에서 악재가 겹치자 저축은행 업권은 당황하는 모습이다.
10일 저축은행업권에 따르면 6·27 가계대출 대책 이후 일부 저축은행에서 대출 승인액이 절반 이상 급감했다. 금융당국이 신용대출까지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등 대출 공급을 틀어막으면서 저축은행도 타격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출 잔액이 줄어들면 이자수익도 함께 감소하면서 저축은행 수익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 재원 마련을 위해 제2금융권에서도 출연금을 내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도 악재다. ‘이재명표 배드뱅크’ 사업에는 국가 예산 4000억원 외에 금융권 출연금도 4000억원가량 투입될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제2금융권이 보유한 장기연체채권 규모가 상당하므로 저축은행 등도 출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문제는 저축은행업권이 2022년 이후 수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재구조화 등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재무구조가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건전성 악화로 인해 금융당국에서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은 4곳이다. 적기시정조치 대상이지만 개선 가능성을 고려해 유예된 곳도 5곳에 달한다.
신용등급도 줄줄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최근 저축은행 5곳을 대상으로 신용평가를 진행해 고려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에 대해 장기 신용등급을 한 단계씩 강등했다. 한국기업평가도 더케이·바로 등 저축은행 2곳에 대해 신용등급을 한 단계씩 하향 조정했고, 한국신용평가는 JT친애저축은행 신용등급을 낮췄다.
신용등급 줄하향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이 9.0%까지 치솟는 등 재무 상태가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체채권 대비 충당금 적립률도 10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자본적정성에도 비상등이 켜진 상태다. 이처럼 업황이 부정적이다 보니 저축은행 인수합병(M&A) 시장은 초과 공급 상태다. 다수 저축은행이 잠재적 매물로 언급되지만 자본적정성이 갖춰진 곳을 중심으로 거래가 성사되고 있어 활발한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저축은행업권 관계자는 “그간 저축은행들이 경영 실적도 좋지 않았고 대출을 줄이면서 숨 고르기를 하고 있었다”며 “배드뱅크나 대출 규제 등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업황 반등 타이밍을 놓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10일 저축은행업권에 따르면 6·27 가계대출 대책 이후 일부 저축은행에서 대출 승인액이 절반 이상 급감했다. 금융당국이 신용대출까지 연 소득 이내로 제한하는 등 대출 공급을 틀어막으면서 저축은행도 타격이 불가피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출 잔액이 줄어들면 이자수익도 함께 감소하면서 저축은행 수익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 재원 마련을 위해 제2금융권에서도 출연금을 내는 방안이 검토되는 것도 악재다. ‘이재명표 배드뱅크’ 사업에는 국가 예산 4000억원 외에 금융권 출연금도 4000억원가량 투입될 전망이다. 금융권에서는 제2금융권이 보유한 장기연체채권 규모가 상당하므로 저축은행 등도 출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문제는 저축은행업권이 2022년 이후 수년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재구조화 등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재무구조가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건전성 악화로 인해 금융당국에서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저축은행은 4곳이다. 적기시정조치 대상이지만 개선 가능성을 고려해 유예된 곳도 5곳에 달한다.
신용등급 줄하향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 연체율이 9.0%까지 치솟는 등 재무 상태가 나빠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체채권 대비 충당금 적립률도 100% 미만으로 떨어지면서 자본적정성에도 비상등이 켜진 상태다. 이처럼 업황이 부정적이다 보니 저축은행 인수합병(M&A) 시장은 초과 공급 상태다. 다수 저축은행이 잠재적 매물로 언급되지만 자본적정성이 갖춰진 곳을 중심으로 거래가 성사되고 있어 활발한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저축은행업권 관계자는 “그간 저축은행들이 경영 실적도 좋지 않았고 대출을 줄이면서 숨 고르기를 하고 있었다”며 “배드뱅크나 대출 규제 등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업황 반등 타이밍을 놓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