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규제 약발에…서울 집값 2주 연속 오름세 둔화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자료한국부동산원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자료=한국부동산원]
고강도 대출 규제 영향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2주 연속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의 오름세가 크게 꺾인 가운데, 마포구·용산구·성동구 등 한강벨트 역시 상승폭 축소 흐름이 완연해 단기적으로는 정부 규제 ‘약발’이 시장에 먹혀 들어가고 있다는 평가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첫째 주(7월 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0.29%를 기록했다. 직전 주(0.40%) 대비 0.11%포인트 축소되면서 규제 이후 상승폭이 연속 둔화됐다.
 
강남구는 전주 0.73%에서 0.34%로 상승세가 큰 폭으로 줄었고, 인근 서초구(0.65%→0.48%), 송파구(0.75%→0.38%), 강동구(0.62%→0.29%)도 모두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강북에서 집값 상승을 주도한 마·용·성 역시 가격 오름폭이 빠르게 진정되고 있다. 용산구는 0.58%에서 0.37%로 상승폭이 둔화됐다. 마포구(0.85%→0.60%)와 성동구(0.89%→0.70%)도 가격 상승 둔화세를 이어갔다. 특히 직전 주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양천구(0.60%→0.55%)와 영등포구(0.66%→0.45%) 등도 일주일 만에 상승폭이 꺾였다.
 
부동산원은 “신축,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일부 선호 단지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시장 참여자의 관망 추이 심화로 전반적인 매수 문의가 감소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밝혔다.
 
경기도에서는 집값이 빠르게 상승한 성남시 분당구가 1.17%에서 0.46%로 상승폭이 급감했다. 과천시(0.98%→0.47%)도 마찬가지로 상승폭 둔화 흐름이 두드러졌다.
 
수도권 전체 가격 변동폭은 0.11%로 전주(0.17%) 대비 상승세가 둔화했다. 서울(0.29%)과 경기(0.04%)는 상승한 반면, 인천은 0.03% 하락해 직전 주에 이어 하락세를 유지했다.
 
지방은 0.03% 감소해 58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고, 5대 광역시는 0.05%, 8개 도는 0.02% 하락했다. 전국 기준으로는 0.04% 상승해 전주(0.07%) 대비 오름폭이 0.03%포인트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직전 주(0.02%) 대비 완화된 0.01%를 보였다.
 
서울(0.08%)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대단지를 중심으로 전주(0.07%) 대비 상승폭이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로는 0.05%에서 0.03%로 오름폭이 꺾였고 지방은 0.01%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