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첫째 주(7월 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0.29%를 기록했다. 직전 주(0.40%) 대비 0.11%포인트 축소되면서 규제 이후 상승폭이 연속 둔화됐다.
강남구는 전주 0.73%에서 0.34%로 상승세가 큰 폭으로 줄었고, 인근 서초구(0.65%→0.48%), 송파구(0.75%→0.38%), 강동구(0.62%→0.29%)도 모두 오름폭이 크게 둔화됐다.
강북에서 집값 상승을 주도한 마·용·성 역시 가격 오름폭이 빠르게 진정되고 있다. 용산구는 0.58%에서 0.37%로 상승폭이 둔화됐다. 마포구(0.85%→0.60%)와 성동구(0.89%→0.70%)도 가격 상승 둔화세를 이어갔다. 특히 직전 주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양천구(0.60%→0.55%)와 영등포구(0.66%→0.45%) 등도 일주일 만에 상승폭이 꺾였다.
경기도에서는 집값이 빠르게 상승한 성남시 분당구가 1.17%에서 0.46%로 상승폭이 급감했다. 과천시(0.98%→0.47%)도 마찬가지로 상승폭 둔화 흐름이 두드러졌다.
수도권 전체 가격 변동폭은 0.11%로 전주(0.17%) 대비 상승세가 둔화했다. 서울(0.29%)과 경기(0.04%)는 상승한 반면, 인천은 0.03% 하락해 직전 주에 이어 하락세를 유지했다.
지방은 0.03% 감소해 58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고, 5대 광역시는 0.05%, 8개 도는 0.02% 하락했다. 전국 기준으로는 0.04% 상승해 전주(0.07%) 대비 오름폭이 0.03%포인트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상승폭은 직전 주(0.02%) 대비 완화된 0.01%를 보였다.
서울(0.08%)은 정주 여건이 양호한 역세권과 대단지를 중심으로 전주(0.07%) 대비 상승폭이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 전체로는 0.05%에서 0.03%로 오름폭이 꺾였고 지방은 0.01%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