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에서 귀국한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방미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한·미 정상회담을 조속히 개최하자고 제안했다.
미국 워싱턴 DC 출장을 마치고 9일 돌아온 위 실장은 귀국 직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촉진해보자고 했다”며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공감을 표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관세 협상 등 한·미 양국 간 현안 논의를 위해 2박 4일 일정으로 워싱턴 DC를 다녀왔다. 그는 “(루비오 장관에게) 양국이 현안에 대해 이견이 있더라도 동맹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라는 큰 틀에서 관세 협상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호관세 25% 부과를 통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서한이 관세·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작성됐다는 점을 짚었다. 위 실장은 “(미국 측에) 우리가 그간 제기한 것은 통상, 투자, 구매, 안보 등 전반에 걸쳐 망라돼 있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협의를 진전시키자고 했다”며 “루비오 장관도 공감했고, 내달 1일까지 무역 협상 기회가 있는 만큼 긴밀하게 소통하자고 말했다”고 전했다.
미국 워싱턴 DC 출장을 마치고 9일 돌아온 위 실장은 귀국 직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합의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촉진해보자고 했다”며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공감을 표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관세 협상 등 한·미 양국 간 현안 논의를 위해 2박 4일 일정으로 워싱턴 DC를 다녀왔다. 그는 “(루비오 장관에게) 양국이 현안에 대해 이견이 있더라도 동맹관계 발전과 신뢰 강화라는 큰 틀에서 관세 협상 타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호관세 25% 부과를 통보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서한이 관세·비관세 장벽을 중심으로 작성됐다는 점을 짚었다. 위 실장은 “(미국 측에) 우리가 그간 제기한 것은 통상, 투자, 구매, 안보 등 전반에 걸쳐 망라돼 있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협의를 진전시키자고 했다”며 “루비오 장관도 공감했고, 내달 1일까지 무역 협상 기회가 있는 만큼 긴밀하게 소통하자고 말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