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직무대행은 이날 서울 L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년 제1회 미래전략포럼'에서 “바이오산업은 견고한 성장기반을 다져왔고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과를 창출하는 등 미래 핵심 산업으로서 높은 잠재력이 입증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성장 동력으로서 바이오산업의 가능성과 도약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차세대 국가 핵심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정책과제와 글로벌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는 기획재정부와 국가바이오위원회 등 정부 관계자와 국가중장기전략위원회, 국책 연구기관, 바이오클러스터 및 업계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전문가토론에서는 바이오 분야 전문가와 산업계 관계자들이 참여해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의 기술 경쟁 심화와 투자 경기 둔화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첨단·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의 효과적인 연구개발(R&D), 인프라,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바이오 투자 선순환 구조 확립을 위해 상장·회계 관련 규제 개선과 벤처펀드 확대를 위한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부는 이번 포럼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제언들을 바탕으로 신성장 동력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 환경 조성 노력에 나설 방침이다. 또 다양한 미래전략산업의 발굴·육성·지원을 위한 논의의 장으로 미래전략포럼을 활용할 방침이다.
박재완 중장기전략위원회 위원장은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과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 등 첨단 기술이 발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바이오산업은 경제안보의 중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기초연구부터 사업화 지원, 규제 개선 등 모든 단계에서 민관 협력이 유기적으로 이뤄져 민간의 창의성과 속도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