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아주경제가 주요 채권·거시경제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모두 이달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가 인하(연 2.75%→2.50%)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에는 1500원을 위협하는 원·달러 환율을 명분으로 금리를 동결했지만 1분기 -0.2%의 충격적 성장률이 현실화된 만큼 한은이 성장 하방 압력을 더는 두고만 볼 수 없을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관세정책 리스크는 완화되었지만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은 불가피하며 국내 경기는 사실상 침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물가는 대체로 안정적 흐름이 지속되며 원화 가치 회복세로 환율 부담도 완화됐으며 가계부채도 임계 수준은 아닌 만큼 경기 대응을 우선적으로 고려해 금리 인하를 결정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올해 말 최종 금리 수준은 2.25%가 6명, 2.00%가 4명으로 의견 대립이 팽팽했다. 0.25%포인트씩 금리를 내린다고 가정하면 6명은 1회, 나머지는 2회 추가 인하를 점친 것이다.
반면 1회 인하를 전망한 조용구 연구원은 "가계부채와 수도권 부동산시장 과열 경계가 재부각될 수 있다"며 "8월 경제전망에서 추가 하향 조정이 없다면 금통위 내에서 정책여력을 아껴야 한다는 주장도 제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수·수출이 모두 둔화하면서 경기 하방 압력으로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는 데는 의견이 모두 일치했다. 성장률 하향 조정은 금리 인하 명분으로 작용한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한은이 오는 19일 공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5%에서 0.8% 수준으로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 높아야 1.1%일 것이란 응답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금융연구원, 8개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 평균인 0.8%와 유사한 수준이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한국 경제는 1분기 마이너스 성장의 여파가 이어지면서 경기 둔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관세 협상 이후 정책 불확실성 완화는 긍정적이지만 글로벌 수요와 제조업 업황 회복이 제한적이며 내수는 여전히 소비 여력이 크지 못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성장를 전망을 가르는 주요 변수로는 다음 달 3일 조기 대선 이후 새 정부가 단행할 경기 부양용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을 주로 꼽았다. 올 성장률을 1.0%로 전망한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선 후 추가 추경 규모는 10조원이며 정권교체 시 20조원대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