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2023년 40개교로 시작한 국제교류수업 학교는 2024년 61개교, 2025년 86개교로 해마다 20개교씩 증가했다. 3년간 누적 187개교, 참여학생수는 5000여 명에 이른다.
학생들의 세계시민역량 함양 및 교육과정과 연계된 공교육 기반의 글로벌 학습 기회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교류수업 학교’는 온라인 공동수업, 해외 현장체험학습, 해외학교 초청수업 등 다양한 유형의 국제교류 활동을 전개한다.
특히 학교 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된 수업 중심 모델로 설계돼 있다.
이 과정에서 영어 의사소통 능력, 다문화 이해도, 글로벌 문제 해결 역량 등 미래사회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올해 국제교류수업 학교 운영 주제는 △기후 위기 대응 및 지속가능발전 △평화·인권·역사 이해 △다문화·상호이해교육 △첨단기술 기반 진로 탐색 △지역사회 문제 해결 등 학생들의 사고력과 세계시민성 및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과정 연계형으로 구성된다.
전북교육청은 국제교류수업 학교들의 안전한 현장체험학습과 내실 있는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사전 준비 단계부터 컨설팅을 지원한다.
서거석 교육감은 “국제교류수업은 학생들이 실제 수업을 통해 세계와 소통· 협력하며, 지구촌 공동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살아 있는 교육”이라며 “국제교육수업 학교들의 해외 학교와의 교류가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글로벌 교육 모델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