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SKT)**이 오는 19일부터 취약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T월드 매장 방문이 어려운 도서·산간 등 11개 지역을 우선 대상으로 운영된다. 아울러 사전 예약 없이 매장을 방문해 이용자가 직접 유심을 교체할 수 있는 셀프 교체 서비스도 도입한다.
SKT는 16일 서울 중구 삼화빌딩에서 열린 일일브리핑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임봉호 SKT MNO사업부장은 “19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며, 이를 위한 교육과 준비를 마쳤다”며 “도입 초기에는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을 중심으로 시행하고, 이후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찾아가는 서비스’에는 스마트폰 내 악성코드 제거 작업이 포함된다. 또한 유심 재설정(유심 포맷) 셀프 교체 서비스도 도입된다. 현재는 유심 재설정이 필요한 고객이 매장을 직접 방문해야만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매장 내 QR코드 스캔을 통해 비대면으로 재설정할 수 있도록 개선될 예정이다.
임 부장은 “T크루와 직접 상담하지 않아도 유심 재설정이 가능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셀프 유심 재설정 서비스가 도입되면 이용자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날 기준 유심 재설정 고객은 1만7000명, 누적 7만4000명이다. 유심 교체는 9만 명이 이용했으며, 누적 187만 명에 달한다.
SKT는 이번 유심 해킹 사고 이후 망 관리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4500개 실내 다중 이용시설 네트워크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야외 활동이 많은 가정의 달을 맞아 전국 360여 개 야외 공간의 품질 관리도 한층 철저히 할 방침이다.
트래픽 관리 측면에서도 지역별 사용량, 장비별 용량 대비 실사용량 분석을 고도화하고 있다.
류정환 SKT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은 “유심 재설정 및 교체로 T월드 2600여 개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들이 늘고 있어, 해당 지역의 네트워크 품질 관리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류 센터장은 “이번 사고 이후 2차 피해 예방에 주력하고 있다”며 “고객들이 불편 없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존 관리 활동을 더욱 강화하는 차원”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