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영화 관세'를 발표한 지 하루 만에 백악관은 이 같은 내용이 최종 결정 사항이 아니라며 해명했다. 상호관세 혼란 이후 한동안 잠잠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금융시장 회복에 힘입어 영화, 의약품 등에 대한 관세를 잇따라 발표하고 나선 가운데 또다시 관세 정책의 혼선이 빚어지는 모습이다.
백악관은 5일(현지시간) USA투데이, 할리우드리포터 등 매체들에 쿠시 데사이 대변인 명의로 보낸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영화 관세 부과와 관련해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정부는 할리우드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고 미국의 국가 및 경제 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를 달성하기 위해 모든 옵션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이날 "영화업계 관계자들과 만날 것이다. 나는 그들이 만족하도록 하고 싶다"며 한 발 빼는 모습을 보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을 통해 해외에서 제작된 모든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도록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내용이 발표된 이후 해외에서 많은 영화를 제작하고 있는 미국의 주요 영화사들이 경쟁력 약화로 피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됐다. 그 결과 이날 뉴욕증시에서 넷플릭스와 디즈니 등 주요 영화 관련주들이 하락했고, 미국증시 주가지수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역시 10거래일 만에 하락했다.
미국 엔터업계 전문 변호사 조너선 헨델은 AFP통신에 트럼프의 영화 관세 구상은 "말도 안 된다"고 일축했다. 그는 미션임파서블과 같은 많은 할리우드 영화들이 해외 촬영을 하는 것은 작품성을 높이려는 이유가 크다며 "톰 크루즈가 에펠탑을 올라가는 장면을 찍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라스베이거스에 있는 에펠탑 복제품에서 찍어야 하나?"고 반문했다.
물론 최근 미국 영화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지원책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대를 얻고 있고, 일부 배우 및 관련업계 근로자 조합은 트럼프 대통령의 영화 관세에 환영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것과 같은 일률적인 관세를 통한 해결 방안은 영화업계의 특수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처사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크다. 더욱이 영화처럼 상품이 아닌 지적 재산에 대한 관세 실행 가능성을 두고도 논란이 일고 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상호관세 발표 이후 13시간 만에 이를 90일간 유예하는 등 '갈팡질팡' 관세 정책으로 혼란을 야기한 가운데 이번에도 비슷한 흐름이 재연된 모습이다. 미국 연예 전문 매체 데드라인에 따르면 한 영화 배급사 고위 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영화 관세와 관련해 "나는 혼돈과 혼란 외에 그의 목적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며 "이번 일이 미국 각 주에서 (영화업계가) 절실히 필요로 하는 세금 인센티브 확대를 추진하는 계기가 되기만을 바랄 뿐이다"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1
0 / 300
-
soo**** 2025-05-06 20:23:00치매걸린 돈버러지 또람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