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2금융 PF 정리 속도] PF발 M&A 빗장 풀린다···저축銀 새 판 깔리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성준 기자
입력 2024-01-28 18:0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부동산 PF 취급 비중 16.5%···이중 브리지론만 55%

  • 저축은행 체력도 한계···"못 버틴다" M&A 매물 전망

  • 수익성·건전성 우려 크지만, 인수가격 매력 커질 수도

사진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내 저축은행 업계의 인수·합병(M&A)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장 내 매물은 쏟아졌지만, 저축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속 가장 약한 고리로 꼽히면서 M&A 물망에서 번번이 제외됐다. 하지만 올해 벼랑 끝에 내몰린 저축은행이 '생존'에서 '매각'으로 전략을 선회할 수 있는 만큼, 과거 저축은행 사태 이후 10여년 만에 새로운 판이 깔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의 총자산 대비 부동산 PF 취급 비중은 16.5%를 기록했다. 이는 캐피털(10.9%)과 증권(4.1%) 등 제2금융권 내에서도 가장 높다. 더욱이 저축은행의 브리지론 비중은 55%(나이스신용평가 16개사 기준)에 달한다. 브리지론은 본 PF 착공 전 토지 매입 등에서 발생하는 대출로, 대부분 2금융에서 이뤄진다. 이에 대출 만기가 짧고, 금리도 높다. 만약 본 PF로 연결하지 못한다면 채권자로부터 자금 회수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미 누적된 만기 연장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업장이 대다수다.

문제는 저축은행 업계의 체력도 한계에 달해있다는 점이다. 저축은행은 대부분의 자금 조달을 수신에 의존하는데, 지난해부터 높아진 예금이자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3분기까지 79개 저축은행이 기록한 누적 당기순손실은 1413억원이다. 1년 전 1조339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실적이 고꾸라졌다. 향후 경기를 고려하면 당분간 적자 기조를 피하기도 힘들다. 저축은행 업계를 향한 우려의 시선이 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상황이 이렇자 부동산 PF 리스크로 경영 위기에 놓인 일부 저축은행이 M&A 시장에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최소 자기자본비율(7~8%)을 충족하지 못하는 저축은행의 경우 경영정상화에 대한 압박이 커져 M&A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 25일 2금융을 대상으로 추가 충당금을 쌓도록 지시했으며, 토지담보대출에 대해서도 PF대출 수준의 충당금 적립을 요구했다. 이때 중점 관리 대상인 저축은행 업계가 이런 재무건전성 규제를 좇다 보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7%(자산 1조원 이상 8%) 이하로 떨어질 수 있고, 당국의 경영정상화 압박을 버티지 못한 대주주들이 저축은행을 매물로 던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부터 저축은행 M&A 논의는 물밑에서 활발히 진행됐다. 예컨대 상상인그룹 계열 저축은행 두 곳(상상인·상상인플러스)을 비롯해 HB·애큐온·한화·조은저축은행 등이 매물로 돌고 있다. 다만 부동산 PF 리스크가 임계치에 달한 탓에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을 사려는 이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금융도 지난해 10월 상상인저축은행을 인수하려고 시도했으나, 거래는 결국 무산됐다. 앞으로도 어려운 생존 싸움을 벌여야 할 업황을 고려할 땐 저축은행의 매력이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저축은행 매물은 금융권에 매력적인 제안으로 다가올 수 있다. 지난해 우리금융과 상상인저축은행 간 무산된 거래에서도 보면 우리금융은 급할 게 없다는 판단이었다. 당시 업계에선 우리금융이 너무 낮은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금융은 올해 고금리·불경기를 버티지 못한 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오면 지난해보다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도 거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과거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와 같이 국내 주요 금융지주들이 해결사로 등장하는 그림도 가능하다. 당시 저축은행 사태에 따른 구조조정 속에 제일·토마토·제일2·에이스·삼화저축은행이 각각 KB·신한·하나·우리-NH농협 금융지주 산하로 편입된 바 있다. 인수할 때만 하더라도 저축은행은 금융지주 내 애물단지 취급을 받았지만, 코로나19 충격 이후 풍부한 유동성에 힘입어 효자 노릇을 하기도 했다.

M&A 업계 관계자는 "건전성을 관리하라는 금융당국의 신호에 따라 금융지주들이 전면에 나서서 (저축은행의) 매물을 받을 수 있다"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부동산 PF 등의 위기 상황이 잦아든다면 저축은행에 대한 관심은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도권 권역에 자리하고 있는 경우 더욱 매력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