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17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김영철 부장검사)는 전날 강래구 한국감사협회장과 대전 동구 구의원을 지낸 강화평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자금 전달 경위와 출처 등을 조사했다. 검찰은 강 회장과 강 전 의원을 2021년 5월 민주당 전당대회를 앞두고 불법 정치자금을 살포한 주요 전달책으로 보고 있다. 특히 검찰은 강 회장을 돈 봉투 관련 자금을 조성·제공에 관여한 핵심 인물로 지목하고 있다.
검찰은 관련 압수수색 영장에서 강 회장이 민주당 대표경선 투표 전인 4월 윤관석 민주당 의원의 지시에 따라 현금 3000만원을 마련하는 등 총 살포 자금 9400만원 중 8000만원의 조달에 관여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강 전 구의원 역시 2021년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송 전 대표의 당선을 위해 돈 봉투의 전달책으로 금품 살포에 가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이 이 전 부총장의 녹음파일 외에 자금의 조달과 분배 과정을 기록한 기록 등이 있다는 진술을 확보함에 따라 강 회장과 강 전 구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금품 살포·조달 피의자 7명에 대한 소환도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다. 특히 이미 강제수사에 들어간 윤 의원과 이성만 의원이 소환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금품 제공·수수의 피의자에 대한 조사와 함께, 검찰은 송 전 대표에 대한 수사망도 좁혀가고 있다. 검찰은 송 전 대표가 적어도 금품 살포 사실에 대해서는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국회의원에 대한 자금 살포 시 송 전 대표의 보좌관 박모씨가 300만원짜리 돈 봉투 20개를 만드는데 가담한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압수수색 영장에도 박씨를 주요 금품 살포에 가담했다고 적시한 상태다. 또 검찰은 관련 녹음 파일에서 송 전 대표가 돈 살포를 인지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내용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검찰 출신 변호사는 “결국 송 전 대표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할 것”이라면서 “송 전 대표가 자금 살포를 사전에 인지했는지, 그렇다면 어느 정도까지 이에 관여했는지에 대한 정황이나 직접 증거 확보에 추후 수사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