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질병청]
2020년 외부적 요인에 의해 신체가 손상된 환자가 연간 300만명에 달했다.
질병관리청이 16일 발표한 ‘제12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 따르면 2020년 손상 환자는 297만8000명으로 2011년 이후 가장 적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사람들의 외부 활동이 감소하면서다.
2015년 손상 환자 수는 457만4000명을 기록한 뒤 2016년 415만8000명, 2017년 355만3000명, 2018년 351만명 등으로 꾸준히 줄었다. 2019년 370만6000명으로 소폭 늘어난 다음 2020년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손상은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인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교통(운수)사고, 추락·낙상, 둔상(둔기에 의한 상처), 자상(흉기에 의한 상처), 화상, 질식, 중독, 신체 괴사, 자연재해 등이 원인이다.
손상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추락·낙상이 37.7%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운수사고 32.4%, 둔상·관통상 11.5%, 중독·화학물질 3.0% 순이었다.
손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2020년 약 2만6000명으로, 인구 10만명당 51.5명꼴이었다. 2011년과 비교하면 교통사고와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각각 38%와 17% 줄었고, 추락·낙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24% 늘었다.
손상으로 인해 하루 평균 72명이 사망했고, 3657명이 응급실을 찾아 2897명이 입원했다.
손상으로 발생한 진료비는 2020년 55조147억원으로, 2011년보다 65.2% 증가했다.
손상의 원인은 어린이에게서는 추락과 낙상이, 청장년에게서는 교통사고가 많았다.
질병관리청이 16일 발표한 ‘제12차 국가손상종합통계’에 따르면 2020년 손상 환자는 297만8000명으로 2011년 이후 가장 적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사람들의 외부 활동이 감소하면서다.
2015년 손상 환자 수는 457만4000명을 기록한 뒤 2016년 415만8000명, 2017년 355만3000명, 2018년 351만명 등으로 꾸준히 줄었다. 2019년 370만6000명으로 소폭 늘어난 다음 2020년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손상은 각종 사고, 재해 또는 중독 등 외부적인 위험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의 문제를 의미한다. 교통(운수)사고, 추락·낙상, 둔상(둔기에 의한 상처), 자상(흉기에 의한 상처), 화상, 질식, 중독, 신체 괴사, 자연재해 등이 원인이다.
손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2020년 약 2만6000명으로, 인구 10만명당 51.5명꼴이었다. 2011년과 비교하면 교통사고와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각각 38%와 17% 줄었고, 추락·낙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24% 늘었다.
손상으로 인해 하루 평균 72명이 사망했고, 3657명이 응급실을 찾아 2897명이 입원했다.
손상으로 발생한 진료비는 2020년 55조147억원으로, 2011년보다 65.2% 증가했다.
손상의 원인은 어린이에게서는 추락과 낙상이, 청장년에게서는 교통사고가 많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