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당 ETF 들여다보니] "매달 현금 꽂힌다" 인기 끌자… 절반 이상이 '급조한 월배당'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연재 기자
입력 2022-12-19 17:5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신한자산운용 첫 상품 선보이자 너도나도 출시

  • 21개 중 12개 기존 분기형·TR형→월지급형 변신

  • "12분의 1로 수익 나눌뿐 유의미한 수익 회의적"

  • 문제는 '배당컷' 매월 배당금 받을지도 불확실해

  • 환율 리스크도 발목…달러 약세땐 오히려 피해

[사진=게티이미지]


용돈처럼 매달 현금이 꽂히는 '월배당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이 인기몰이를 하자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너도나도 관련 ETF 상품 만들기에 몰두하고 있다. 올해 6월 신한자산운용이 '월배당 ETF' 상품을 처음 선보이자 자산운용업계는 시장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기존 분기형·토털리턴(TR·배당금 자동 재투자)형도 월지급형으로 바꾸고 있다. 자산운용업계는 시장 수요에 따라 더 많은 월지급형 상품을 만들 계획이라고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큰 수익을 만드는 데에는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재까지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월배당 ETF 상품'은 21개며 이 중 12개가 기존 분기형·TR형에서 월지급형으로 전환된 것으로 집계됐다. 첫 '월배당 ETF 상품'은 신한자산운용 'SOL 미국S&P500' 상품이다. 지난 6월 해당 상품이 출시되자 타 자산운용사들은 비슷한 상품을 월배당형으로 이름을 바꿔 내놓기 시작했다. 

월배당 형식으로 상품을 가장 많이 전환한 운용사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다. 지난 7월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200커버드콜ATM 등 '커버드콜 시리즈' 2종을 분기형에서 월배당형으로 바꿨다. 올 5월 분기 지급형으로 출시했던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 상품도 두 달 전 월배당으로 전환하는가 하면 총 7종을 분기형에서 월배당으로 전환했다. 이후에도 8월과 9월 한 차례씩 월배당 상품을 출시했다. 그 밖에도 KB자산운용은 3종, 삼성자산운용은 2종을 기존 TR·분기형에서 월지급형으로 상품을 바꿨다. 그 외 타임폴리오자산운용·우리자산운용이 월배당 ETF 상품을 신규 출시하며 월배당 ETF 자산 규모는 반년 만에 1조원대로 올라섰다. 

수익률은 월배당 출시 시기인 6개월 기준 'TIGER 미국다우존스30'과 'TIGER 미국S&P500배당귀족'이 10% 수익을 냈고, 배당률은 각각 0.13%, 0.14%였다. 가장 낮은 수익률을 낸 상품은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로 -23%였지만 배당률은 0.22%였다. 

문제는 '월배당 ETF 상품'이 기존 분기형·TR형 상품과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월배당 상품은 연간 배당 수익률을 월로 나눠 지급하는 구조다. 가령 배당률이 연 12%라면 월로 1% 정도씩 나눠서 받는 것이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배당 수익률을 연간 혹은 분기형으로 나눠 받느냐 아니면 월로 쪼개서 받느냐 하는 차이"라며 "유의미한 수익을 거둘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라고 지적했다. 한마디로 현금을 추후 목돈으로 받거나 미리 월 단위로 나눠 받는 차이만 있을 뿐 상품에서 혁신성은 돋보이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자료=한국거래소 ]


기존 상품을 월지급형으로 바꾼 상품들은 기초자산·운용주체·관리자 등 상품구조도 그대로 유지했다. 금융투자업 규정상 상품 구조까지 바꾼다면 재신고 등 등록 절차가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월배당 ETF 상품을 출시한 한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도 "상품 신고 절차 간소화를 위해 상품구조 자체는 건드리지 않았다"며 "이름만 바꾸는 것은 쉽다"고 말했다. 

매월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난 7월 상장한 '삼성 KRX 리츠 TOP10 월배당 상장지수증권(ETN)'의 예상 지급 월은 2월이다. 지난 9월 배당락을 맞았지만 아직까지 배당금은 지급되지 않았다. 삼성증권은 "반기 혹은 분기별로 배당금이 나오는 'KRX 리츠 TOP10 지수'를 추종하기 때문에 배당금이 매달 나올 수는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2년 전 서학개미들의 집중 순매수로 인기 종목 10위권까지 올라갔던 '글로벌X슈퍼디비던드리츠ETF'는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경기 침체 여파로 배당 컷(배당 삭감)까지 발생해 수익률이 40% 이상 떨어지기도 했다. 해당 주식은 코로나19 전 한 달에 주당 0.101달러씩 배당했지만 이후에는 경기 침체를 이유로 0.061달러까지 낮췄다. 

환율 리스크도 존재한다. 21개 상품 중 총 10개 상품이 미국 나스닥과 리츠 지수를 추종하며 이 중 단 3개 상품만 환헤지가 돼 있다. 즉 헤지(H) 상품을 사지 않은 투자자는 지금처럼 달러가 약세 전환할 때 오히려 피해를 보고, 달러가 강세일 때에만 그 이상 수익을 낼 수 있다. 

강민석 교보증권 연구원은 "월배당 ETF 상품은 매달 '제2의 월급' 혹은 용돈처럼 현금이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그 외 캐피털 수익이 목적이라면 추천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이어 "해당 상품이 고배당이라는 이유만으로 상품을 매입하면 배당 컷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배당 지속 가능성과 안정성을 꼭 따져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