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다 리스크] 부채 구조조정 돌입 임박...첩첩산중 예상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배인선 기자
입력 2021-12-06 16: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헝다 사실상 디폴트…주가 역대 최저치 곤두박질

  • 아파트 완공이 '최우선'…역외 채권자는 '후순위'

  • 역대급 부동산기업 부채 구조조정 '난항' 예상

  • 헝다 사태 계기로···中 부동산 '우량기업'만 생존

중국 헝다그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유동성 위기설에 시달렸던 중국 부동산재벌 헝다가 사실상 채무 불이행(디폴트)을 인정함에 따라 구조조정 작업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23조원이 넘는 헝다의 대외 부채는 중국 부동산기업 디폴트 사상 최대 규모다. 경제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부동산 부문 금융 리스크를 통제하려는 시진핑 지도부에는 새로운 도전이 될 것이라고 블룸버그 등 외신은 6일 보도했다. 

◆헝다 사실상 디폴트…주가 역대 최저치 곤두박질

헝다가 지난 3일 저녁 2억6000만 달러(약 3075억원) 규모의 채무 보증 의무를 다하기 힘들다"고 공시했다.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진 지 약 석 달 만에 결국 스스로 디폴트 가능성을 인정한 셈이다. 

헝다는 10월 말부터 유예기간 만료일 직전에 달러채 이자를 겨우 상환하며 세 차례 디폴트 고비를 간신히 넘겼다. 하지만 더는 추가 지불이 어려운 상황에 맞닥뜨린 것으로 평가됐다.

당장 6일(현지시각)까지 유예기간이 끝나는 달러채 2건에 대한 8250만 달러어치 이자도 지급해야 한다. 만약 지급하지 못하면 사실상 디폴트로 간주된다. 이어 이달 말에도 2억5000만 달러가 넘는 달러채 2건에 대한 이자 만기일이 다가온다. 내년에 상환해야 할 달러화·위안화 채권 이자 규모는 이보다 더 많은 74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대니얼 판 블룸버그 애널리스트는 "헝다의 다음 수순은 사실상 비공식 디폴트에 돌입해 계속해서 채권자들과 협상을 시도하는 것"이라며 "부채 지속 가능성을 기반으로 상환 만기일을 연장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헝다 디폴트 위기가 번지며 6일 홍콩거래소가 개장하자마자 헝다 주가는 장중 13% 넘게 폭락하며 2009년 상장 후 최저치까지 곤두박질쳤다. 

​◆ 아파트 완공이 '최우선'···해외투자자는 '후순위'

헝다가 디폴트 위기 상황에 내몰리자 중국 당국도 3일 긴박하게 움직이며 일단 불안감 차단에 나섰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광둥성 정부는 이날 쉬자인(許家印) 헝다 회장을 긴급 소환했고, 정부 실무팀을 헝다에 파견해 리스크 관리 및 내부 통제로 정상적인 회사 운영을 돕기로 했다.

시장은 헝다가 결국엔 정부 주도로 채무 구조조정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헝다도 3일 "채권자와 적극 소통해 실행 가능한 대외 부채 구조조정안을 만들겠다"고 공시했다. 

사실 이는 헝다가 앞서 9월 글로벌 투자은행 훌리한 로키 등 외부 구조조정 전문가를 재무고문으로 초빙하면서 예상됐던 결과다. 당시 업계는 유동성 위기로 디폴트에 빠졌던 하이난항공(HNA)그룹이 헝다의 선례가 될 것으로 관측하기도 했다. HNA그룹은 현재 파산 구조조정 작업을 통해 세 개 회사로 쪼개진 상태다. 

이로써 헝다가 디폴트 발발 후에도 기업 청산 위기는 피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제일재경일보는 "헝다가 대외 채무 상환만 중단했을 뿐, 중국 국내 채무 상환, 회사 운영, 공사 건설에는 커다란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인민은행 등 금융당국도 일제히 "헝다가 중국 부동산·금융시장에 가져올 리스크는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헝다는 이미 중국 내 주택 구매자와 중소 협력업체 보호를 최우선 목표로 내걸고 자산 처분을 통해 마련한 자금으로 중국 내 아파트 공사 재개·완공·인도와 납품업체 대금 상환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다만 역외 채권자들은 헝다 주택 투자자, 협력사, 국내 채권자보다 후순위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인민은행도 "역외채권 시장은 성숙한 투자자에 의해 매우 시장 지향적으로 움직인다"며 사실상 고위험·고수익(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한 역외 투자자들이 어느 정도 희생을 감수할 것임을 시사했다. 

​◆ 역대급 부동산기업 부채 구조조정 '난항' 예상

헝다가 대외부채 구조조정 작업에 들어가도 그 과정이 수월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헝다그룹 실적 보고서를 보면 6월 말 기준 유이자부채만 5717억 위안에 달하는데, 이중 달러채가 1289억9400만 위안(약 23조원)에 달한다. 이는 중국에서 그간 디폴트를 낸 부동산 기업 중 역대 최대 부채 규모다.

게다가 현재 중국 부동산 경기도 침체된 상황이라 자산 매각, 투자자 유치 등 구조조정에도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당국이 헝다그룹 계열사 전체 부채 규모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실제 헝다가 3일 채무 보증이 불가능하다고 언급한 2억6000만 달러채는 헝다 관계사인 쥐샹이 2019년 발행한 것으로, 당시 헝다 그룹이 보증을 섰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몇 달 전에야 비로소 헝다 그룹이 해당 달러채에 대한 채무 보증 의무가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헝다 사태 계기로···中 부동산 '우량기업'만 생존

헝다는 중국 대형 부동산 재벌이다. 총 자산만 2조3000억 위안(약 420조원)으로, 미지급금을 포함한 총부채는 1조970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2%에 상당하는 수준이다.

시장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4분의1을 차지할 정도로 주축인 부동산 부문에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헝다그룹 구조조정을 진행할 수 있을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중국 중금공사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를 통해 "헝다의 부채 조정 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긴 하지만, (헝다 디폴트로) 중국 신용시장이 또 한 차례 공황에 빠질 가능성은 적다"고 내다봤다.

경영이 부실하고 금융리스크가 높은 부동산기업은 차츰 시장에서 퇴출되겠지만, 우량 부동산기업에 대해선 정부가 계속해서 자금 물꼬를 터줄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따라 헝다 리스크 충격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통제 가능하다는 진단이다. 

실제 헝다 사태를 계기로 시장에는 중국 부동산 업계 '살생부'가 한창 마련 중이다. 최근 양광·자오자오예·아오위안 등 부실기업은 자금난으로 줄도산 위기에 맞닥뜨린 반면, 완커·뤼청 등 국유기업이나 룽후·룽광 등 재무가 탄탄한 민영기업들이 중국 정부 지원 속 대규모 채권을 발행했거나 혹은 발행 계획 중에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방증한다. 중국 금융정보회사 윈드사에 따르면 11월 부동산 기업의 역내 채권 발행액은 471억 위안으로, 전달 대비 84%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