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초대석] 이근, ‘소프트파워’·‘미들파워 외교’ 국내 도입한 학자 출신 ‘KF 수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봉철·정혜인·박경은 기자
입력 2020-02-09 15:2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향후 종합학문으로 한류 ‘업그레이드’ 계획

  • “오세아니아·북방으로 공공외교 폭 넓혀야”

이근 한국국제교류재단(KF) 이사장은 지난 5일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문화, 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한류를 종합학문으로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이근 한국국제교류재단(KF) 이사장은 지난 5일 아주경제와의 인터뷰 내내 과학기술 혁신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문과생’인 이 이사장이 과학기술의 미래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흔히 다보스포럼이라고 불리는 세계경제포럼이었다. 매년 보는 것이라 큰 기대를 갖지 않고 지켜봤던 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플랫폼과 인공지능(AI)은 충격으로 다가왔다고 했다.

전 세계의 흐름을 읽는 국제정치학자로서의 ‘촉’도 작용했다. 이를 영감으로 스웨덴사무소 설치도 추진하게 됐다.

거슬러 올라가면 이 이사장에게 ‘공공외교’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운명적인 관계이기도 하다. 이 이사장이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연구한 분야가 바로 공공외교의 밑바탕이 되는 ‘소프트파워’(연성권력)이기 때문이다.

그는 2004년 조지프 나이 미국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창안한 이 개념을 도입해 이론화 했다. 이 이사장은 공공외교의 개념도 소프트파워와 연관을 지어 설명했다. 그는 ‘문화·정책·지식 등 소프트파워 자원 중심으로 국가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우호적 외교환경을 조성하며 우리의 가치를 대변하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활동’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이후 ‘미들파워(중견국) 외교’도 이 이사장이 국내 학계에 제시한 개념 중 하나다. 이 이사장은 “내가 제안한 원래 개념은 미국과 중국이라는 초강대국이 아닌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다른 선진국들’과 한국을 묶어서 견제와 협력을 하자는 취지였다”면서 “그런데 지난 정부를 거쳐 멕시코, 인도네시아, 터키 등 정말 ‘미들’한 ‘국력의 크기’가 같은 나라가 모이는 외교정책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했다”고 했다.

특히 그는 KF의 주요 성과 중 하나인 한국학과 별도로 ‘한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만드는 시도를 하겠다고 밝혔다.

KF는 설립 이후 현재까지 미국 하버드대·예일대·컬럼비아대 및 영국 옥스퍼드대를 포함해 해외 16개국 91개 대학에 한국학 교수직 136석을 설치했다. 아울러 1만1000명 이상의 해외 유력인사 및 차세대 지도자를 국내로 초청했다.

또한 미국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영국박물관을 포함한 10개국 28개 해외 박물관에 한국실을 설치하고 KF 펠로십을 통해 7000여명에 달하는 외국인들의 한국 연구를 지원해왔다.

이 이사장은 “내년에 정치, 사회, 역사, 음악,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불러 한류학 학술대회를 열 예정”이라며 “문화, 예술에 국한되지 않고 한류를 종합학문으로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공공외교가 한류, K-팝(Pop) 등 특정 문화 트렌드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는 “공공외교에 한류보다 좋은 자산이 없다”고 일축했다. 한류를 소비적 자산이 아니라 학문이라는 ‘상위 단계’로 끌어 올리겠다는 것이 이 이사장의 복안이다.

이 이사장은 4강국에 집중된 공공외교의 폭을 유럽과 오세아니아, 북방지역으로 넓혀야 한다고도 했다. 우리나라와 민주주의·시장경제 등 비슷한 가치를 공유하지만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던 호주사무소 설립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2017년 산하기관으로 부산에서 개관한 아세안문화원이 한국과 아세안 간 쌍방향 문화교류의 대표적인 기관으로 성장한 사례를 들며 “외교부와의 협의를 통해 ‘유라시아문화원’ 설립에 나서겠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올해를 “신북방 중점 협력의 해”라고 천명한 바 있다.

이 이사장은 “정부 신북방정책의 대상인 러시아·독립국가연합(CIS)과의 경제적·인적 교류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우리가 운영 중인 중앙아시아 5개국과의 다자협력 채널인 ‘한-중앙아협력포럼사무국’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근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프로필

△1963년 서울 출생 △서울 대신고 △서울대 외교학과 △미국 위스콘신주립대 정치학 석·박사 △외교통상부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미래전략연구원장 △서울대 국제학연구소장·국제대학원 교수 △제13대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