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슈퍼호황에도 국내 팹리스 업체 절반이 적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지윤 기자
입력 2019-04-17 11: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상장사 24개 중 영업손실 13곳

  • 가격·기술 경쟁력서 중국 업체에 밀려

  • 정부 차원 대책 시급

지난해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에도 국내 팹리스(fabless·반도체 설계 전문기업) 상장사의 절반 이상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업계와 기업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팹리스 상장사 24개 가운데 지난해 영업손실을 낸 기업은 13곳으로 전체의 50%가 넘는다. 2016년만 해도 이들 24개 기업 가운데 7개 업체만 적자였는데 2년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팹리스 매출액 상위 1∼7위 기업이 모두 흑자를 냈을 뿐 8위 이후로는 적자를 면한 기업이 4곳뿐이었다. 이들 기업 가운데 아나패스, 지스마트글로벌, 골드퍼시픽은 2017년 흑자를 기록했다가 지난해 적자 전환했다.

또 지난해 이들 팹리스 상장사의 매출 총액은 1조8959억원으로 전년보다 2.0% 늘어나는데 그쳤다. 여기에 팹리스 매출 1위인 LG그룹 계열사 실리콘웍스가 24개 기업 전체 매출액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사실상 중하위권 기업은 성장이 정체돼 있는 상황이다.

공장(Fab)이 없는 팹리스는 중앙처리장치(CPU)나 모바일프로세서(AP), 통신모뎀·이미지센서 같은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 칩의 설계만 맡고 양산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에 위탁하는 업체를 말한다.

이와 관련해 국내 파운드리 업체들은 국내 팹리스를 고객사로 선택할 유인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국내 팹리스 업체는 200여개에 불과해 기술력과 가격 측면에서 경쟁력이 약한 반면 반면 중국에는 1300여개의 업체가 포진해 있기 때문에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국내 파운드리 업체들이 중국 쪽에 눈을 돌리면서 국내 팹리스가 외면 받았다는 평가다. 

반도체 시장조사업체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팹리스 시장에서 미국이 68%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대만은 16%, 중국은 13%를 기록했다. 한국은 1% 미만의 미미한 점유율을 보였다. 

이에 정부는 팹리스와 파운드리 등 비(非)메모리 반도체 산업 육성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또 글로벌 메모리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이달 중에 비메모리 반도체 부문의 설비·연구개발(R&D) 투자와 상생협력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달말께 화성사업장에서 설비 투자, 인재 양성, 팹리스 업체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비메모리 사업 발전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있다. 행사에는 정부 고위관계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도 참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지난 17일에는 시스템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비메모리 부문에서 투자에 나서는 동시에 국내 중소 팹리스 업체와 소재·장비 업계의 역량 강화에 '지원군' 역할을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 15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반도체산업협회에서 열린 '반도체산업 수출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