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브 북상, 유가 '폭탄'될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8-09-01 13:4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허리케인 구스타브의 북상으로 미국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멕시코만 인근의 정유시설은 물론 유가에 미칠 파장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 구스타브는 미국 정치, 경제, 사회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는 상태다. 구스타브가 북상함에 따라 뉴올리언스 인근에는 강제 대피령이 내려졌으며 1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의 일정으로 전당대회를 진행할 계획인 공화당은 대회 규모를 대폭 축소키로 결정했다.

   
 
<사진설명: 허리케인 구스타브의 북상으로 멕시코만 정유시설이 일제히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구스타브가 지난 2005년 뉴올리언스를 강타한 카트리나를 능가하는 세력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유시설 파괴를 비롯해 국제유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내무부는 31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멕시코만 지역의 석유생산 시설 중 96.26%가 가동을 중단했다면서 대부분의 굴착장비와 플랫폼 등이 철수했다고 밝혔다.

허리케인 북상에 대비해 멕시코만의 천연가스 생산시설도 82% 이상이 가동을 중단한 상태다.

정유업계 역시 일제히 시설 가동을 중단하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세계 최대 정유사인 엑손모빌을 비롯해 코노코필립스와 발레로 에너지 등이 멕시코만에 위치한 정유시설의 가동을 중단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구스타브가 3년 전 재앙을 가져왔던 카트리나를 능가할 위력을 나타낼 것이라는 우려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구스타브는 이미 카리브해 지역에서 80명이 넘는 생명을 앗아갔고 시속 193㎞의 강풍으로 시속 27㎞의 속도로 미국 본토를 향하고 있다.

구스타브의 영향권은 루이지애나에서부터 텍사스, 앨라배마, 플로리다 주까지 800㎞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당장 구스타브 북상으로 직격탄을 맞은 곳은 전당대회를 진행할 공화당이다. 백악관은 이날 조지 부시 대통령이 1일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서 열리는 전당대회에 참석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멕시코만에는 미국 정유시설의 41%가 위치해 있다.

   
 
<사진설명: 구스타브가 세력을 키우면서 뉴올리언스 시민들에게 강제 대피령이 내려졌다>


레이 내긴 뉴올리언스 시장은 30일 "구스타브는 모든 폭풍을 능가할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31일 오전 8시를 기준으로 주민들에게 강제 대피령을 내렸다.

바비 진달 루이지애나 주지사 역시 구스타브가 카트리나를 능가할 것이라면서 주민들에게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했다.

2005년 발생한 카트리나는 뉴올리언스에서만 1800명의 생명을 앗아간 바 있다.

1990년대 들어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중 가장 최악의 피해를 입힌 것은 2005년 8월29일 루이지애나주 등을 휩쓸었던 카트리나가 첫손에 꼽히며 1992년 플로리다주를 강타한 앤드류, 2004년의 찰리와 아이반, 프란세스, 진 역시 큰 피해를 입힌 허리케인으로 기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허리케인은 6월부터 시작해 11월까지 발생되며 대형 허리케인은 주로 8월 하순에서 9월까지 발생한다.

멕시코만을 통해 이동하는 허리케인은 따뜻한 멕시코만을 지나면서 세력이 커져 큰 피해를 가져온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허리케인의 등급은 바람의 세기로 구분하며 풍속이 시속 73마일 이하일 때는 열대성 폭풍(Tropical Storm)으로, 시속 74마일 이상부터 허리케인으로 분류하고 있다. 미국 국립기상청(NWS)은 허리케인 등급을 5개 등급으로 표시하는 사피어-심프슨 등급을 채택하고 있다.

1등급은 풍속이 74-95마일(119-153km)로서 건물 구조물에 대한 피해는 없으며 2등급은 풍속이 96-110마일(154-177km)로 지붕이나 문 그리고 창문이 부서지며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3등급은 풍속 111-130마일(178-209km)로 건물이 파손될 수 있고, 나무가 부러지거나 쓰러질 수 있다.

4등급은 풍속 131-155마일(210-249km)로 지붕이 완전히 날아갈 수 있다.

5등급은 155마일(250km) 이상으로 집과 빌딩의 지붕이 파손된다. 1969년 발생한 카밀과 1992년 앤드류, 2005년 발생한 카트리나와 윌마가 5등급으로 분류된 바 있다.

한편 지난 주말 하락세로 마감한 서부텍사스산 중질유(WTI) 10월물 가격은 1일 오전 아시아 시장에서 배럴당 1.54달러 상승한 117달러로 거래되면서 강세로 돌아섰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