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세환 경기 광주시장이 1일 "저상형 똑버스를 통해 교통약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치켜 세웠다.
이날 방 시장은 "오는 4일부터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 ‘똑버스’를 탄벌·장지 등 신규 택지지구가 포함된 동 지역까지 확대 운영한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똑버스’는 전용 앱 ‘똑타’를 통해 호출 시 운행되는 비정기형 대중교통 서비스(DRT)로, 기존에는 농촌·교통취약지역인 읍면 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운영돼 왔다.
하지만 ‘스마트도시법’에 따른 규제 특례 실증 지역 지정을 통해 제도적 제약을 극복하고, 동 지역까지 서비스를 확장하게 됐다는 게 방 시장의 설명이다.
특히, 이번 도입은 전국 최초로 친환경 중형 저상버스를 투입, 교통약자와 장애인의 이동권을 적극 보장했다는 데 있다.
그간 DRT 체계는 휠체어 승강장비 의무가 없어 교통약자 이용에 한계가 있었으나 방 시장은 이를 사전에 인식하고 운수업체와의 협의를 거쳐 저상버스 도입을 현실화했다.
이번 동 지역 ‘똑버스’는 25인승 친환경 중형버스 7대로 운영되는데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호출 마감 오후 11시 30분) 운행될 예정이다.
4∼10일까지는 시범운행으로 무료이고 이후 요금은 시내버스와 동일한 1450원이며 환승 할인도 적용된다. 단, 전용 앱 ‘똑타’를 통한 사전 예약이 필수이며 현금 결제는 불가하다.
한편 방세환 시장은 “앞으로도 차별 없는 교통 환경 조성과 지역 맞춤형 대중교통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