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4일 설명자료를 통해 "세계유산영향평가 시행을 위해선 세계유산지구 지정이 필수적"이라며 "더욱이 세계유산영향평가 대상 사업의 구체적 범위 및 평가항목, 방식, 절차 등 역시 미비해 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법적·행정적 기반이 전혀 갖춰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유산구역+완충구역'을 설정하게 돼 있음에도 종묘는 등재 후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완충구역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이번 문화유산위원회에서 가결된 세계유산지구도 유산구역만 지정한 상태로, 세계유산지구의 필수 구성 요소인 완충구역은 여전히 미설정된 상태"라고 비판했다.
시에 따르면 국가유산청은 서울시와 9년 넘게 협의하고 13차례 문화재 심의를 진행하면서도 정작 유산 가치 평가의 기준선이 되는 완충구역조차 지정을 미루고 있었다는 설명이다.
이를 두고 국가유산청은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받으라는 유네스코 권고안을 서울시가 수용하지 않아, 세계유산 등재 취소 등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며 반발했다.
서울시와 국가유산청의 갈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문화유산위원회 산하 세계유산 분과는 전날 회의를 열고 종묘를 중심으로 총 91필지, 세부적으로는 19만4089.6㎡ 규모를 세계유산지구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세계유산지구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세계유산 구역', 세계유산 등재 시 유산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주변 구역인 '세계유산 완충구역'으로 구분된다. 국가유산청은 관련 행정 절차를 다음 달까지 마무리하고, 시에 세계유산법에 근거한 세계유산영향평가 실시를 요청할 방침이다.
추후 완충구역을 늘리거나 추가로 지정할 경우 세운상가까지의 거리가 짧아져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는 세운4구역이 종묘로부터 100m 이상 떨어져 있어 영향평가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