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시진핑, 이례적 동시 국빈 방한…미·중정상회담 주목

  • 6년만의 회동…'세기의 담판' 이뤄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사진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사진=AP 연합뉴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나란히 국빈 방한하는 가운데, 이번 방한 기간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첫 미·중 정상회담이 개최될 예정이다.

26일 백악관이 공개한 일정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와 일본 방문 일정을 거쳐 오는 29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도착, 1박2일의 방한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오전 시 주석과 양자회담에 참여한 뒤 당일 워싱턴DC로 출발한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31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APEC 정상회의 본행사엔 불참하게 됐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시 주석은 오는 30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방한한다. 시 주석은 30일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가진 뒤 다음날부터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후 시 주석과 처음 만나는 장면이 경주 APEC 계기에 연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전 세계 시선이 경주로 향하고 있다. 두 정상의 마지막 대면은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였다. 또 미·중 정상이 동시에 한국을 찾는 것도 지난 2012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이후 13년 6개월 만이다.

최근 미·중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 회담을 앞두고 있어 '세기의 담판'이 될지 주목된다. 특히 무역·관세·안보 등 전선을 가리지 않고 충돌해 온 두 나라가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지가 최대 관전 포인트다.

현재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맞불을 놓은 상태다. 미국은 중국에 대한 소프트웨어 수출 규제도 검토하고 있다. 회담에선 중국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뿐 아니라 미국산 대두 수출, 핵 군축 등 다양한 범위의 사안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2일 취재진에 "(시 주석과) 상당히 긴 회담이 예정돼 있다"며 "최소한 희토류 문제에 대해선 합의가 이뤄질 것이다. 관세가 희토류보다 더욱 강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아울러 미·중 정상회담이 열릴 장소도 관심사다. 보안 측면에서 부산 김해공항의 공군기지 안에 있는 '나래마루'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나래마루는 지난 2005년 부산 APEC 정상회의 때 김해공항으로 입국하는 해외 정상을 맞이하기 위한 의전실 용도로 지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