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질 석방을 중재하고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교전을 종식시키며 중동에서 외교적 성과를 거둔 가운데 다음 외교 무대는 우크라이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에서 승리 후 우크라이나 평화를 노리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스라엘과 이집트에서 열린 행사들에서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언급했다. 그는 이스라엘 의회(크네세트) 연설에서 "이란과 평화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훌륭한 일이 될 것이지만 먼저 러시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우선 러시아에 집중하자"고 밝혔다.
또한 그는 오는 17일 백악관에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오는 17일 미국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과 토마호크 미사일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12일 전쟁이 계속될 경우 우크라이나에 장거리 순항미사일 '토마호크'를 지원할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외교적 승리의 모멘텀을 활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다시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낼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트럼프 집권 1기 때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고위직을 지냈던 프레드 프리츠는 "이번 일은 트럼프에게 다른 주요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막대한 지렛대를 제공한다"며 "그는 이제 자신이 효과적인 중재자이자 평화 조정자임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미국과 유럽의 고위 당국자들은 트럼프의 중동 외교 성과가 러시아나 우크라이나의 전쟁 전략을 즉각적으로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주변 정세는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은 카타르·이집트·튀르키예가 하마스를 압박하며 중재에 나섰던 가자 전쟁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유럽에서는 러시아가 여전히 핵무기를 보유한 세계적 군사 대국으로 남아 있을 뿐 아니라, 미국의 지정학적 최대 경쟁국이자 또 다른 초강대국인 중국이 러시아의 주요 경제·정치적 생명선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활동하는 군사 문제 분석가 프란츠 슈테판 가디는 "어떤 압박을 가하든지 러시아가 핵무기를 갖고 있다는 점은 항상 요인이 된다"며 "미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사태가 커지도록 촉발할 수 있는 행동을 하려는 의향을 보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 휴전 협상 당시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측을 동시에 압박할 명분과 수단을 활용했다. 이스라엘이 지난 9월 9일 카타르 도하의 하마스 활동가를 공습하자, 트럼프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게 '20개 조 평화안' 수용을 압박하고, 카타르 총리에게는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또한 카타르·이집트·튀르키예는 하마스가 중재안을 거부할 경우 외교적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러시아나 푸틴 대통령에게는 이와 같은 압박 전략이 적용된 적이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의 주요 교역국인 인도에 고율 관세를 부과했지만, 정작 러시아에 대해서는 주요 신규 제재 조치나 2차 제재를 가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 1기에서 우크라이나 협상을 위한 미국 특사를 지낸 커트 볼커 전 주(駐)나토 대사는 "하마스가 협상 테이블에 나오게 된 것은 압박 때문이었는데, 우리는 러시아에 대해 아직 비슷한 압박을 가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