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통일부는 지난 정부 시기 사실상 형해화된 남북 대화·교류 기능의 복원을 추진해 왔으며, 현재 국무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 인사말씀에서 "통일부 본연의 조직과 기능을 바탕으로 평화 공존과 공동 성장의 한반도를 열어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남북 간의 대화와 교류가 중단된 기간 동안 북한의 핵 능력은 고도화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의 유동성도 더 심화되고 있다"며 "새 정부 출범 이후에 취한 선제적 긴장 완화 조치로 우선 접경 지역의 평화는 조금이나마 회복됐다"고 언급했다.
이어 "하지만 아직은 가시적인 남북 관계의 변화가 없어 국민들께서 걱정이 크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대북 정책을 추진하는 모든 과정에서 평화의 원칙을 확고하고 일관되게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대통령께서는 광복절 경축사와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북한의 체제를 존중하고,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으며 적대 행위를 하지 않는다는 3원칙을 거듭 밝힌 바 있다"며 "정부는 이를 토대로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기울여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정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이 발표한 'END 이니셔티브'를 거론하며 "정부는 이 구상을 중심으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안내하고, 한반도 평화 증진과 남북 관계 복원을 위한 노력을 지속 경주해 나갈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그러면서 "무엇보다 국민주권 정부의 통일부는 국민 참여, 국론 통합의 대북·통일 정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소통과 참여를 활성화하고, 국민께서 공감하고 지지하는 대북 정책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