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국감을 '공세형 국감'으로 규정했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지난 12일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정부에 의해 망가진 1060일을 철저히 파헤치겠다"며 "우리가 야당이라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번 국감을 '내란 잔재 청산' 국감으로 규정하고 전 정부에 대한 강도 높은 감사를 예고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도부는 이번 국감을 '정책 국감'과 '대여 공세' 투트랙으로 운영한다. 민생·안전 이슈를 전면에 내세워 정책 역량을 부각하는 동시에, 정부조직 개편과 특검 논란 등 여권의 국정운영 전반을 겨냥한 공세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히 ‘대(對)민은 안전한 나라인가’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재난·안전·경제·안보 등 분야별 현안을 집중 점검하며, 이재명 정부의 국정 대응력 부재를 부각한다는 전략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는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로 분리된 기획재정부가 핵심 쟁점이다. 예산 기능이 총리실 직속 예산처로 이관이 확정된 뒤 처음 맞는 국감이다. 민주당은 "권한 분산을 통한 효율적 개편"이라고 옹호하지만, 국민의힘은 "경제 컨트롤타워 기능이 약화됐다"며 비판한다. 실제로 기재부 내부에서도 "예산권 이관 후 정책 조율 기능이 약화됐다"는 불만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제사법위원회 국감은 사법부 인사들의 대거 불출석으로 시작부터 파행이 예고된다. 대선 개입 의혹 관련 증인으로 채택된 지귀연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를 비롯해 오경미·이흥구 대법관 등 주요 법관들이 헌법상 합의 비공개 원칙을 이유로 일찍이 출석을 거부했다. 심우정 전 검찰총장과 김주현 전 민정수석도 각각 수사 중·상중을 사유로 불참했다. 민주당은 "사법부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헌법상 권한을 지키는 차원의 결정"이라고 반박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국감이 새 정부의 권력 구조 변화를 확인하는 첫 무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정부조직 개편 이후 첫 부처 국감이란 점에서, 각 부처 장관들의 존재감과 정책 추진력이 시험대에 오른다는 평가도 나온다. 민주당은 '야당형 공세'로 전 정권 책임을 묻고, 국민의힘은 '정책 검증형 국감’으로 맞서면서 둘째 날부터 여야 간 긴장감이 최고조로 치달을 전망이다.
여야 모두 정국 주도권 확보를 위한 첫 시험대라는 점에서, 이번 주 국감의 향배가 향후 정기국회 전체 기조를 좌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