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부동산 규제 효과 떨어지나…강남권 등 신고가 속출

  • 자금력 있는 수요 몰리며 서울 상급지 아파트 매매 상승률 확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시장이 다시 고개를 드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그간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으로 관망세가 이어지던 수요가 되돌아오며,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를 비롯해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에서 신고가 사례가 계속 나오고 있다. 고소득자 등 자금력 있는 수요가 핵심 투자처로 움직인 결과로 풀이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전반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으로 상승폭이 둔화되는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도 주요 상급지를 중심으로 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8월 첫째 주(8월 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는 0.14% 올라 상승률이 직전 주(0.12%) 대비 확대됐다. 5주 연속 둔화 양상을 이어가다가 6주 만에 분위기가 달라진 모습이다. 

특히 서울 강남구(0.11%→0.15%)가 상승폭을 키웠고, 용산구(0.17%→0.22%), 성동구(0.22%→0.33%) 등도 상승폭을 확대했다. 부동산원은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며 전반적인 수요는 위축됐다"면서도 "재건축 이슈 단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며 상승 폭을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강남구 등 주요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살아나면서 신고가 매매 체결도 이 지역에서 두드러진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자곡동 강남자곡아이파크 전용면적 74.97㎡는 지난 2일 17억5000만원(15층)에 매매 계약이 되면서 약 두달 만에 1억3000만원 올랐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면적 116㎡는 지난달 2일 92억원에 매매됐다. 올해 2월 거래된 직전 최고가 80억원과 비교해 12억원이 넘게 올랐다. 

강동구에서는 천호동 우성아파트 전용 64.53㎡가 지난 4일 9억원에 매매됐다. 2021년 8월 당시 최고가(9억8000만원)보다 낮지만 올해 처음 다시 9억원대로 올라왔다. 

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 등 강력한 수요 억제 정책이 이어지며 관망하는 분위기가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강남 3구와 마용성 등 상급지에서 자금 여력이 있는 수요를 통해 거래가 지속되며 신고가 경신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지역은 6·27 규제 전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대상이지만, 대출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고소득자나 현금 동원력이 높은 이른바 '똘똘한 수요'가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그만큼 앞으로도 이 지역들을 중심으로 규제 실효성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서초구 잠원동의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강남3구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규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며 "이번 부동산 대책은 현금이 부족한 사람들의 강남 진입을 막은 정책"이라고 설명했다.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 분석에 따르면, 6·27 대책 이후 2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 거래는 85.8% 급감했지만, 신고가 비율은 66.1%에 달해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집중 수요를 보여주고 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대출 규제로 대다수 일반 아파트의 거래가 끊겼지만, 희소성 높은 초고가·신축·재건축 단지로만 수요가 집중되며 오히려 가격 상승 압력이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이러한 '똘똘한 한 채'로의 쏠림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