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2030년까지 '두 자릿수 성장' 목표…열쇠는 '제도 혁신과 자본시장'

  • '성장극·경제벨트' 집중 육성…녹색금융으로 FDI 자본 유치

밤에 바라본 베트남 호찌민시 모습 사진베트남통신사
밤에 바라본 베트남 호찌민시 모습 [사진=베트남통신사]


베트남이 중장기적으로 두 자릿수 성장률 달성을 위해 제도 개혁과 금융시장 발전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8일 베트남 현지 매체 VnEconomy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2026~2030년 연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10% 달성을 목표로 내걸고 이를 위한 3대 구조개혁 로드맵을 본격 가동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노동집약형 저임금 성장 모델로는 한계가 뚜렷하다”며 ‘포스트 제조업 시대’에 걸맞은 체질 개선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

도타인쭝(Do Thanh Trung) 베트남 재정부 차관은 최근 열린 경제성장 포럼에서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견조했지만 구조적 병목이 여전하다”며 강한 경고음을 냈다. 특히 낙후된 규제 시스템, 불투명한 투자환경이 고급 자본과 인재 유입을 가로막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안에 ‘경제시장 체계 개편안’을 제출하고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소를 법제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글로벌 ESG 펀드와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를 유치하려는 포석이다. BIDV 등 베트남 상업은행들도 “은행 의존도가 70%를 웃도는 현재 금융 구조로는 대규모 녹색 투자 유치는 어렵다”며 주식·회사채·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를 촉구한다.


베트남이 자랑하는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도 주목받고 있다.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EU-베트남 자유무역협정(EV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15개 이상의 양·다자간 무역협정 덕분에 기업들은 관세 혜택과 시장 접근성을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다만 관세 감면만으로는 부족하다. 산업계는 ‘스마트 제조업’과 디지털 전환을 연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베트남상공회의소(VCCI)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단순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위주 생산으로는 고부가가치를 담보할 수 없다”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반도체 등 첨단산업으로의 업그레이드를 강조했다. 삼성·인텔 등 글로벌 기업들이 베트남에 추가 반도체 조립라인을 설치하거나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저렴한 인건비는 한때 베트남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최대 강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역설적으로 ‘중진국 함정’의 족쇄가 되고 있다. 재계에 따르면, 제조업 종사자의 60% 이상이 단순 기능직으로, 숙련공과 연구개발 인력 비중은 여전히 낮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하노이, 호찌민, 다낭 등 주요 대도시는 첨단인력 클러스터를 조성 중이다. 정부는 내년까지 100만 명 이상의 정보기술(IT)·AI 전문인력을 육성하고, 해외 유학파를 귀국시켜 연구개발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다국적 기업과 연계한 맞춤형 직업교육도 활발하다.

베트남은 2050년까지 넷제로(탄소중립)를 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를 위해 탄소배출권 거래제 도입과 녹색채권 발행 기준 마련을 연내 목표로 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수출시장에서 탄소국경세가 현실화되면 탄소관리 역량이 경쟁력이자 생존전략이 된다”고 말했다.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조선·철강·섬유 등 에너지다소비 업종을 중심으로 ESG 대응 컨설팅과 전환 투자 수요가 늘고 있다. 베트남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순환경제 산업에 세제 지원을 확대해 ‘녹색자본’ 유입을 적극 유도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베트남은 FTA·지리적 강점·정치 안정성이라는 3대 축이 이미 갖춰졌다”며 “이제는 제도혁신·스마트 제조·녹색자본이 맞물려야 고성장 사이클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