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 플러스 전환...반도체 역대 '최대 실적'

  • 6월 수출 4.3% 증가...반도체 149.7억 달러

  • 트럼프발 관세전쟁에도 상반기 수출, 전년比 보합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달 수출이 지난해보다 4.3% 증가하면서 한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에도 반도체 수출 실적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전체 수출을 견인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597억97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3% 증가했다.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6.8% 증가한 28억5000만 달러로 역대 6월 중 1위 실적을 경신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507억21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3.3% 늘었고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90억76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6월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6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는 등 주요 품목이 호조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실적인 149억7000만 달러(11.6%)를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SSD 포함) 수출도 15.2% 증가한 13억3000만 달러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2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수출은 대미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2.3% 증가하며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대유럽연합(EU) 수출이 전기차를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인 덕이다. 

국가별로는 9대 주요 지역 중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7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선박·철강제품을 중심으로 2.1% 증가한 97억6000만 달러로 1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EU 수출은 자동차·차부품, 선박, 석유제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14.7% 증가한 58억 달러를 기록해, 4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다만 양대 수출시장인 대미 수출과 대중 수출은 모두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대미 수출은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부진으로 0.5% 감소한 11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중 수출도 반도체 수출 감소로 2.7% 줄어든 104억2000만 달러로 조사됐다. 

올해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0.03% 감소한 3347억 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오히려 2.3% 증가한 25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3069억 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1.6% 감소했고 무역수지는 278억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48억 달러 개선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올해 상반기 우리 수출은 미국의 관세 조치, 경기 회복세 둔화, 중동 사태 등 전례 없는 글로벌 통상·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며 "우리 기업들이 녹록지 않은 수출여건에 적응하기 위해 치열하게 시장·품목 다변화에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안 장관은 이어 "하반기에도 미국 관세정책의 변동성과 경기 회복 속도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면서 "한·미 관세 협상에 총력 대응하는 한편 협상 결과에 따라 우리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역 금융 공급, 대체시장 발굴 등을 포함한 수출 지원 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