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597억97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3% 증가했다. 역대 6월 중 최대 실적이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도 6.8% 증가한 28억5000만 달러로 역대 6월 중 1위 실적을 경신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507억21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3.3% 늘었고 수출에서 수입을 뺀 무역수지는 90억76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6월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6개 품목 수출이 증가하는 등 주요 품목이 호조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특히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실적인 149억7000만 달러(11.6%)를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SSD 포함) 수출도 15.2% 증가한 13억3000만 달러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2대 수출품목인 자동차 수출은 대미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2.3% 증가하며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대유럽연합(EU) 수출이 전기차를 중심으로 호조세를 보인 덕이다.
국가별로는 9대 주요 지역 중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7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대아세안 수출은 반도체·선박·철강제품을 중심으로 2.1% 증가한 97억6000만 달러로 1개월 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대EU 수출은 자동차·차부품, 선박, 석유제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14.7% 증가한 58억 달러를 기록해, 4개월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다.
다만 양대 수출시장인 대미 수출과 대중 수출은 모두 감소했다. 구체적으로 대미 수출은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부진으로 0.5% 감소한 11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중 수출도 반도체 수출 감소로 2.7% 줄어든 104억2000만 달러로 조사됐다.
올해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상반기 수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0.03% 감소한 3347억 달러를 기록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은 오히려 2.3% 증가한 25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입은 3069억 달러로 같은 기간 대비 1.6% 감소했고 무역수지는 278억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48억 달러 개선됐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올해 상반기 우리 수출은 미국의 관세 조치, 경기 회복세 둔화, 중동 사태 등 전례 없는 글로벌 통상·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며 "우리 기업들이 녹록지 않은 수출여건에 적응하기 위해 치열하게 시장·품목 다변화에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안 장관은 이어 "하반기에도 미국 관세정책의 변동성과 경기 회복 속도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면서 "한·미 관세 협상에 총력 대응하는 한편 협상 결과에 따라 우리 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역 금융 공급, 대체시장 발굴 등을 포함한 수출 지원 방안을 빠른 시일 내에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