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에도 하반기 수출 '선방' 스타트...7월 초 수출 9.5%↑(종합)

  • 반도체 12.8%, 승용차 13.3%, 선박 134.9%↑

중국 장쑤성 타이창의 한 항구에 쌓인 컨테이너들 사진AFP·연합뉴스
중국 장쑤성 타이창의 한 항구에 쌓인 컨테이너들. [사진=AFP·연합뉴스]
우리나라 수출이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우려에도 하반기 시작부터 선방했다. 선박과 반도체·승용차 등 주요 품목이 호조를 보이며 전체 수출을 견인한 것이다. 다만 트럼프발(發) 관세 등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큰 상황이다.  

관세청이 11일 발표한 '7월 1~10일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94억1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5% 늘어났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2억8000만 달러로 9.5% 증가했다. 이달 1~10일 조업일수는 8.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동일하다.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4.3% 증가하며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지난 5월 넉 달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이후 다시 반등에 성공한 것이다.

이달 10일까지 수출을 주요 10개 품목별로 보면 전년 동기 대비 승용차(13.3%), 선박(134.9%) 등의 품목이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는 고부가 제품 수요,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12.8% 증가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7%로 0.6%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석유제품(-1.9%), 무선통신기기(-13.7%), 가전제품(-19.7%) 등 3개 품목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별로는 중국(6.2%), 미국(6.1%), 유럽연합(3.6%), 베트남(2.3%) 등으로의 수출이 늘어났으며 홍콩(-43.1%) 등이 줄었다. 중국, 미국, EU 등 상위 3국 수출 비중은 47.0%에 달했다.

미국이 당초 이달 9일부터 예고한 상호관세 발효시점을 8월 1일까지 연기하면서 한국 정부 내에서는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관세 압박 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수출 불확실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달 1일로 예고한 관세 부과 시점은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현재 한국은 주요 대미 수출품인 자동차 및 부품, 철강·알루미늄에 이미 25~50%의 고율 관세가 부과된 상태다. 여기에 반도체, 의약품 등 품목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한편 같은 기간 수입액은 199억940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1.8% 증가했다. 수입은 원유(4.9%), 기계류(17.2%), 가스(21.9%) 등에서 증가했고 반도체(-4.5%), 석유제품(-27.4%) 등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5억94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