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경제 성장 갉아먹는 '시한폭탄'...EBRD "더 오래 일해야"

  • 신흥 유럽, 2050년까지 연간 1인당 GDP 증가율 0.4%p 감소 전망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 사진게티이미지 뱅크
기사와 관련없는 사진 [사진=게티이미지 뱅크]



인구 고령화가 국내총생산(GDP) 성장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이 경고했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EBRD는 연례 보고서에서 인구 증가 둔화가 장기 경제전망을 훼손하지 않으려면 각국이 지금 바로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EBRD 분석에서는 고령화가 이미 일부 국가에서 성장 둔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특히 신흥 유럽 지역은 노동 연령층 감소로 2023년부터 2050년 사이 1인당 GDP 연간 증가율이 평균 약 0.4%포인트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EBRD의 베아타 야보르치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에 유럽의 옛 공산권 국가들이 "부유해지기도 전에 늙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위 연령 37세 기준 평균 1인당 GDP가 1만달러(약 1472만원)에 불과하다며, 이는 1990년대 선진국이 같은 연령대에 도달했을 당시의 4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야보르치크 이코노미스트는 대부분의 EBRD 회원국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인센티브 정책을 시행 중이지만 의미 있고 지속적인 변화를 만들지는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출산율 감소 대책 중 하나인 이민 확대는 정치적으로 민감하다. 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AI) 활용 역시 주민들의 반응이 양가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더 오래 일하는 것’을 제시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직무 재교육과 연금 제도 개편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