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유산청은 국가무형유산 '대목장(大木匠)' 보유자로 김영성·이광복·조재량씨를 인정했다고 20일 밝혔다. 대목장 보유자가 인정된 것은 2000년 이후 약 25년 만이다.
국가무형유산 '대목장'은 전통 목조 건축의 설계와 시공, 감리까지 전 과정을 책임지는 목수다. 궁궐이나 사찰, 군영시설 등을 건축하는 도편수(우두머리 목수)를 의미한다.
김영성씨는 1977년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보유자인 고(故) 고택영에게 입문하여 1997년 이수자가 됐다. 2000년에는 전승교육사, 2021년 전라남도 무형유산 보유자로 인정되어 전통 도구 및 기술의 전수교육 등 대목장의 보전·전승에 힘써왔다.

이광복씨는 최원식-조원재-이광규의 맥을 잇는 고 조희환과 고 신영훈에게 대목장 기술을 전수받아 20년 이상 전통 사찰 신축 등 해당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해왔다.

조재량씨는 최원식-조원재-이광규-신응수로 전승된 궁궐건축의 기문 계보를 이었다. 1996년 전 국가무형유산 대목장 보유자인 신응수에게 입문해 2006년 이수자가 되었고, 이후 도편수로서 국가유산 복원·보수를 맡는 등 해당 분야를 체계적으로 전승하고 있다.
국가무형유산 '악기장(樂器匠)' 전승교육사 김영열씨도 명예보유자로 인정하였다. 김씨는 2004년 전승교육사로 인정된 후 20년 이상 현악기 제작에 대한 전수교육과 전승활동에 힘써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