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모델 골라 쓴다...서울시, '생성형AI용량제' 시범 운영 

  • 기존 '구독제' 대비 비용 절감 효과...창의적 정책 설계 환경 구축 기대

서울시청 청사 사진서울시
서울시청 청사.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조직 단위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사용하는 ‘생성형 AI 용량제’ 서비스 '서울AI챗'을 도입하고 오는 12월까지 시범 활용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부터 생성형 AI를 업무에 시범 적용할 직원을 모집해 ‘신기술 이용료 지원(구독제)’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지원 가능한 인원(570명) 대비 신청자가 3~4배를 넘어서면서 사업 확대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구독제 시범 사용’에 참여한 직원들은 아이디어 획득(28%), 자료 조사(27%), 문서 작성(19%) 등 다양한 업무에 AI를 적극 활용했고, 90% 이상이 ‘챗GPT’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AI챗’이 도입되면 그동안 특정 모델만 사용할 수 있었던 구독제와 달리 챗(Chat)GPT, 클로드(Claude), 제미나이(Gemini), 퍼플렉시티(Perplexity), 라마(Llama), 미스트랄(Mistral)AI, 그록(Grok) 등 총 29개 모델을 상황에 맞게 활용, 업무 효율과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

문서 작성과 요약은 ‘클로드’, 실시간 검색은 정확도가 높은 ‘퍼플렉시티·제미나이’, SNS 최신 트랜드 분석은 ‘그록’ 등 AI 모델별로 특화된 기능과 업무를 선별해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개별 직원에 월 3만원 수준의 정액 서비스를 지원하는 ‘구독제’를 전 직원으로 확대할 경우, 연간 30억원 정도가 필요하지만, 실제 사용량 기반 과금되는 ‘용량제’는 연간 약 2억원 수준이면 운영할 수 있어 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적이다.

서울시는 생성형 AI 용량제 ‘서울AI챗’를 전 직원을 대상으로 도입, 시범 운영기간 동안 기존의 구독제와 용량제를 병행해 장단점 분석 및 사용량과 빈도·만족도·서비스 품질 등을 검토해 내년 본격 도입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는 ‘서울AI챗’ 시범 운영을 통해 행정 효율과 직원 만족도가 동시에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옥현 서울시 디지털도시국장은 “이번 시범 사업으로 기존 구독제의 한계를 넘어 전 직원이 생성형 AI를 업무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AI를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행정 도구로 활용, 서울시의 AI행정을 전국 최초에서 ‘전국 표준’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