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무법인 바른은 올해 8월 기업전략연구소를 출범하며 규제와 법률을 넘어 기업 경영의 애로를 해결하는 '실질적 파트너'를 선언했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패러다임 속에서 기후·탄소 전략, 공시 규제 대응, 공급망 관리 등 복합 과제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연구소를 이끄는 이는 이준희 소장이다. 그는 딜로이트 안진과 법무법인 지평에서 ESG 경영컨설팅을 개척하며 국내 기업 프로젝트 100여 건을 총괄한 전문가다. 현재 한양대 겸임교수로도 활동하며 산·관·학을 잇고 있다. 정우진 전문위원은 탄소중립·기후 대응 자문 경험이 풍부하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규제 변화에 대한 기업 대응을 지원해왔다. 이들과 함께 지평 출신 컨설턴트 그룹도 합류해 실무 역량을 강화했다.
바른 기업법무그룹 변호사들도 든든하다. 윤기준 고문(전 ESG기준원 부원장), 강보람·이형진·박상오 변호사는 컴플라이언스와 해외 비즈니스 자문 경험이 깊다. 에너지·인프라 분야 이승교 외국변호사, 제재용 위원, 인사노무 전문 정보문 외국변호사도 합류해 사안별 맞춤 협업을 이끈다.
연구소는 출범 직후부터 ESG 공시 규제와 기후·탄소 전략 자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프로젝트를 늘려가고 있다. 기업들의 SBTi(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 기반 목표 달성과 탄소 데이터 구축, 로드맵 설계 등 실행 지원에 집중한다. 동시에 ESG 데이터 관리·DX(디지털 전환) 자문, 공급망 실사 체계, 해외 사업장 감사, 투자자 대응, 거버넌스 자문까지 영역을 넓히며 현장의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단순 보고서가 아닌 실행 성과와 연결된 실무형 자문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바른 기업전략연구소의 강점은 변호사와 전문가 그룹을 묶은 '원팀' 플랫폼이다. 전략 수립에서 이행, 비용·실익 검증까지 이어지는 실행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현실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연구소는 "유행처럼 흘렀던 ESG는 끝나가고 있다"며 포스트 ESG 시대에는 기업 가치와 투자 전략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향후 비재무 리스크에 특화된 싱크탱크형 자문 플랫폼으로 성장해 정책과 시장을 잇는 가교가 되겠다는 포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